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696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절만 지나면 왜 이리 아픈 데가 많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9.10
생길 수 있다”며 “개인의 상태에 따라 척추교정치료, 자세교정 코칭, 소뇌 및 전정기관
기능
향상 운동, 운동치료 등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바이오디자인으로 만든 세포 공장은 쓰임새가 무궁무진하다. 품질 좋은 약용 물질과
기능
성 소재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먹이로 삼아 유용한 물질로 바꿀 수도 있다. 실제로 연구단은 인삼에 많이 들어 있는 약효 물질 ‘사포닌’을 미생물에서 만들어내는 ... ...
포기하지 않는 사람의 뇌는 다르다
2014.09.05
의욕을 잃고 포기하기 쉬워진다. 연구팀은 게임을 하는 동안 뇌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기능
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확인했다. 그 결과, 포기하지 않은 학생들의 뇌에서는 배측선조체와 복내측시상하핵 전전두엽 피질 부위의 활동성이 줄어들었다. 배측선조체는 시행착오를 통해 무언가를 ... ...
뚱뚱한 어린이는 천식도 잘 걸린다
2014.09.03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만으로 지낸 기간이 길 수록, 지방이 많을수록 폐
기능
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 역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참고한 논문에 따르면 비만인 어린이는 그렇지 않은 어린이에 비해 6% 가까이 천식 위험이 증가했다. 미쉘 포그스 미국 알레르기 천식 및 ... ...
인터넷 끊어져도 스마트폰으로 4개 언어 자동통역
2014.09.01
인천 아시안게임에 참여한 선수 및 응원단을 위해 지니톡에 각종 스포츠 용어 통역
기능
을 강화한 ‘인천광역시 통역비서’ 앱을 개발하고, 아이폰용 앱스토어나 구글플레이 스토어 등에서 무료 배포를 시작할 계획이다. 다만 이 앱은 기존 지니톡처럼 인터넷이 연결돼 있어야 쓸 수 있다. 김흥남 ... ...
행복의 크기를 예측하는 방정식이 있다?!
2014.09.01
느끼는지’에 대해 0부터 10 사이의 수로 답하도록 했다. 그리고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기능
성 자기공명영상(fMRI) 촬영을 통해 이들의 두뇌 활동 변화를 측정했다. < 분석 결과, 사람들이 순간순간 느끼는 행복의 크기는 실제로 받는 돈의 액수가 아니라, 자신의 기대치보다 얼마나 많은 보상을 ... ...
흉터도 만들고 암도 전이시키는 이것은?
2014.08.31
제 자리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포외기질의
기능
이상 때문에 발생하는 섬유증이나 암 전이 같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 개발을 위한 단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셀’ 29일자에 ‘주목 받는 논문 ... ...
영하 50도 북극엔 인공섬…6000m 심해엔 유인 잠수
2014.08.29
시추
기능
을 가진 초대형 인공 섬 ‘세미리그(Semi-Rig)’의 모습. 해양 전문가들은 2030년 이후에는 이런 인공 섬을 남·북극 바다 에서 운영하 는 ‘극지 인공 섬’ 기술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대우조선해양 제공 영하 50도를 넘나드는 혹한의 바다 위에 ‘인공 섬’이 떠 있다. 거대한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각 부위를 자극하면서 해마와
기능
적으로 가장 잘 연결된 뇌 부위가 어딘지를 찾기 위해
기능
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확인했다. 그 결과 머리 왼쪽 뒷부분을 자극했을 때 해마와 뇌 피질을 잇는 부분의 신경 연결이 가장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6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사람마다 수 cm의 ... ...
게임으로 난치병 치료할 수 있을까
2014.08.26
가했을 때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뇌 역시 외부 자극이나 학습에 의해
기능
이 점차 발달한다는 것이 뇌 가소성의 핵심 내용이다. 즉 운동 장애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훈련을 하면 뇌도 긍정적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프로스페리니 교수는 “비디오 ... ...
이전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