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과학강국의 이면, 인도 ‘다리 밑 학교’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도심에서 차로 30분 가량 떨어진 야무나뱅크 지역. 45°C를 웃도는 찌는 더위를 뚫고 5월 1일, ‘메트로 다리’ 아래를 찾았다. 이곳에는 ‘다리 밑 학교’라 불리는 저소득층 어린이 교육기관이 있었다. 기자는 동료 기자 세 명과 함께 이곳을 찾았다(125쪽).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에게 과학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앞 ‘뜨락’에서 열린 1부 행사와, 다 함께 광화문 광장 일대를 걷는 행진으로 이뤄졌다. 1부 행사에서는 과학기술인들이 직접 과학자로서의 삶을 전하는 ‘과학 버스킹(길거리 연설)’과 다양한 과학문화 부스 전시가 진행됐다.특히 과학 버스킹에서는 주류 과학자 외에 여성, 외국인 등 소수자에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껏 호기를 부렸다. 해밀턴은 독자적으로 이 문제를 파고들었다. 결국 해밀턴은 1969년 12월에 마침내 자신이 그 해법을 찾았노라고 프라이스에게 편지를 보냈다. 해밀턴이 보낸 논문의 초고를 읽고, 프라이스는 당황해 하며 말했다. “내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결과들이 많군요. 흥미롭지만, 한 번 더 ... ...
- 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Part 3. 암 치료, 두 가지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내성 기전을 연구해 이를 극복하는 약제를 개발 중이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특집 3파트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2015.8)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508N004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0%)에 두고 두 차례 발효를 거쳤다. 얼마나 기다려야 하냐는 질문에 상셰 제빵장은 “30분, 1시간…처럼 숫자로 단정 짓기 어렵다”며 “눈으로 보아 반죽의 부피가 2배 이상 부풀어 오르는지 확인하라”고 말했다. 효모는 설탕이나 소금과 달리, 살아 있는 생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온이나 습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보통레벨 0에서 4까지 5단계로 나뉘어요. 레벨 0은 자율운전기능이 없는 차예요. 레벨 1은 한 종류, 레벨 2는 두 종류 이상의 자율운전기능을 갖추고 있지요. 레벨 3은 주차장이나 고속도로처럼 지정된 장소에서 스스로 움직일 수 있지만, 완벽하진 않아요. 비상시에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할 수 있도록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두루 주(周)’, ‘물결 파(波)’, ‘셀 수(數)’가 합쳐진 한자어예요. ‘주기적으로(1초 동안) 발생하는 파동의 횟수’라는 뜻이지요.‘두루 주(周)’는 ‘골고루’, ‘둘레’, ‘주기’ 등 여러 뜻을 지닌 상형문자예요. 이 글자의 원형은 ‘밭 전(田)’자 안에 점이 4개 찍혀 있는 갑골문인데, 이를 ... ...
- Intro. 벌레야? 로봇이야? 사이버그(bug)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생존력을 자랑하는 바퀴벌레 가족이야. 지금 저기서 피자를 먹고 있는 바퀴벌레가 48, 51, 55번째 형이랑 59번째 누나지. 음식을 구하러 나간 73번째 형도 곧 돌아올 때가 됐는데…. 저기 왔다! 어라? 그런데 저 바퀴벌레는 우리 형이 아닌데, 누구지? 유난히 번쩍이는 등껍질, 기계음이 나는 몸통…. 설마,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벌레의 날개는 아주 얇은 막과 ●시맥으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매우 가벼워요. 그래서 1초에 수백 번이 넘는 날갯짓을 할 수 있답니다.●시맥 : 벌레의 날개에서 볼 수 있는 무늬처럼 갈라져 있는 맥. 얇은 날개를 보강하며 몸 속 물질이 시맥을 통해 이동하기도 한다.곤충 날개(노란색)에 생기는 와류 ... ...
이전7087097107117127137147157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