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8,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12
실 빗살 깃털 모양을 하고 있다. 이밖에 나비는 낮에 활동하고 몸통에 비해 날개가 큰
데
비해 나방은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등불을 잘 찾아 들고 몸통에 비해 날개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나비는 인간에게 직접 도움을 주는 곤충은 아니다. 그러나 인간은 나비를 봄으로써 시를 읊고 노래할 수 있는 ... ...
성인병 예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12
정상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혈압도 1백36/86㎜Hg로 정상이었다. 운동부하검사를 다시 하였는
데
심장의 최대운동능력도 23% 증가하였고 최대운동시의 혈압도 2백2/94㎜Hg이었다.운동이 고혈압환자의 혈압을 낮출 수 있다고 해서 아무 운동이나 해도 효과적이라는 말은 아니다. 고혈압의 정도에 따라, 또 ... ...
2 호르몬에서 항암제까지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12
제공할 수 있었다. 예컨대 항암제인 인터페론은 우리 몸안에서 극소량 만들어지는
데
암환자 한사람분을 제조하려면 약1백ℓ의 피를 뽑아야 했다. 그러나 이제는 대장균과 같이 증식속도가 빠른 미생물에 필요한 유전정보를 끼워넣으면 얼마든지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 ...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12
수행되고 있는
데
이 계획은 해양생물로부터 의약품 및 첨단기술제품의 원료를 얻는
데
주력하고 있다. 과기청 산하의 해양과학기술센터는 심해생물의 연구를 주도, 이의 산업적 이용에 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민간연구 개발 조직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BIDEC(Bioindustry Development Center)를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12
걱정스럽게 하고 있다. 일본은 프랑스에서 2006년까지 80t의 플루토늄을 수입할 예정인
데
, 그중 1차분(1t)이 해상수송되고 있는 것. 일본은 가시와자키 - 가라와 계획을 수립, 2010년까지 총 2백억달러를 투입해 원자력발전소를 40개 더 증설할(현재 38개) 것이라고 한다.아무튼 올해는 핵무기의 감축과 ... ...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12
파일을 대상으로 한꺼번에 작업을 해야 할 필요성이 느껴진다. 즉 30개의 파일이 있는
데
여기서 20개는 지우고 나머지 10개는 내버려 두기로 한다. 이럴 때 한가지 파일씩 지우게 되면 20번 명령을 내려 개별파일을 하나씩 처리해야 한다. 이런 일을 좀더 쉽게 하기 위해 두가지 특수문자를 이용한다.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11
발견된 공룡의 뼈는 오랜 옛날 살던 거인의 뼈로 오해됐을 정도다. 화석 골격을 복원하는
데
도 많은 오류가 있었다. 이구아노돈의 큰 고깔처럼 생긴 엄지손가락 뼈를 코 위에 뿔처럼 가져다 붙인 적도 있다. 또한 이구아노돈을 포함한 모든 공룡들이 네 발로 걸었을 것으로 생각했다가 후에 많은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11
G급에 이르면 선폭이 0.15μ이하가 되고, 단위 셀의 크기는 0.4μ 이하가 된다. 그런
데
선폭이 0.1μ이하가 되면 양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과 다시 0.01μ 즉 10nm수준에 이르면 양자효과가 주가 된다. 또 셀의 크기가 이 정도 작아지면 지금의 모스펫(MOSFET)구조로 동작이 가능한지도 확신할 수가 없다.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11
벼슬이나 장소와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이 별은 실제로
데
네브와 같은 A형의 하얀색 별인
데
지평선 가까운 곳의 대기를 통해 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약간 붉게 보인다. 이 별은 지구로 부터 대략 23광년의 거리에 위치하며 태양에 비해 그 지름은 2배정도 크고, 밝기는 14배나 더 밝다.(그림2)는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11
체중이 가볍고 육식을 하던 날쌘 종류들 그리고 단체행동에 능했던 종류들이 꽤 많았는
데
, 오스트롬 교수는 이들이 모두 온혈동물이었으리라는 매우 그럴 듯한 학설을 발표했다.필자는 아직 누가 이 학설에 이의를 달았다는 말을 듣지 못하고 있다. 온혈이 아니고는 지속적으로 민첩하게 움질일 수 ... ...
이전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