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효과
결과
영향력
여파
작용
효능
효험
d라이브러리
"
영향
"(으)로 총 7,58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국방네트워크에 침입한 컴퓨터바이러스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모리스의 바이러스프로그램은 유닉스운용체계(OS, operating system)를 가진 컴퓨터에만
영향
을 미쳤다.그라함은 '모리스의 바이러스프로그램은 자신의 진원지를 숨기기 위해 정규적으로 UC버클리대학의 컴퓨터대학의 컴퓨터에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메시지를 보냈다. 즉 UC버클리 진원지로 위장하기 ... ...
감마선의 수수께끼, 물리학계 긴장시켜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핵인 양자(proton). 그런데 양자는 양전하를 띠고 있어 우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영향
을 받는다. 즉 진행방향이 굽게 되며 지구에 도달하려면 수백만년의 '우주여행'을 해야먄 한다. 따라서 우주선인 양자는 그것이 어디 '출신'인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알 길이 없다.반면 감마선은 전하가 없어 ... ...
첨단건축, 어디까지 왔나 「수직도시」초고층빌딩의 기술세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구조시스팀의 개발이 추진되고는 있으나 초고층건물이 주변의 도심환경에 주는 중대한
영향
등 여러 여건으로 당분간 2백층 정도의 초고층화만이 진전되리라 생각된다. 첨단건축과 신소재 개발건축물이 이처럼 고층화되고 있으나 그 구조체의 재료가 신소재로 바뀔 가능성은 별로 없다. 다만 ... ...
잠수함 만드는데 매혹 조선공학 개척에 평생을 바치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연안객선에 있어서 대형 구상선수(球狀船首)가 조파저항(造波抵抗)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실험적 연구'라는 논문을 가지고 공학박사의 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내가 미국에서 보고 돌아와서 만든 선박모형시험수조에서 우리나라 객선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여러가지 여건이 ... ...
스트레스 해결의 손자병법 잘만 알면 극복쉬워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사실도 알아야 한다.최근 정신의학에서는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신체에 미치는
영향
을 극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논의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근 '스트레스 관리'라는 개념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스트레스 관리의 주요개념을 소개한다. 첫째 옆에서 스트레스를 바로 알려주고 출처를 ... ...
기초과학·경계학문이 가능성 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그런 태도였었다.천문학자가 새로운 별을 발견했다 해서 그 지식이 곧바로 인간생활에
영향
을 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천문학자는 계속 자신의 지적 호기심 때문에 새 별을 찾는다. 기초과학분야로 진출코자 하는 사람은 특히 그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요즘의 과학의 추세는 ... ...
서기 2030년까지 사라지거나 거의 파괴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해결되지만 그것은 엄청난 비용이 드는 일. 두 교수가 지적한 섬들 가운데 가장 심각한
영향
을 받게 될 곳은 괌도가 끼어 있는 마샬군도, 적도아래의 키리바티군도, 오스트렐리아 동북방의 투발루군도 그리고 인도양의 말디브군도 이다 ... ...
가장 깨끗하고 가장 깊으며, 가장 큰 담수호 동 시베리아의바이칼 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몽고 북쪽 차가운 하늘아래 있다. 우리의 겨울날씨에 큰
영향
을 주는 고기압이 주로 이곳에서 발생한다. 이 호수 주변은 한민족의 발원지의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바닷물이 섞이지 않은 담수호로서는 지상에서 가장 크고 유라시아대륙의 전체 호수가운데 세번째 큰 규모를 자랑하는 동 시베리아의 ... ...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나이 유리 로마넨코 나의 우주생활 326일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할 수 없어 장기우주체재가 불가능하다고 한다. 또 결과적으로 지상에 돌아와서도 몸에
영향
이 크다는 것이다."예들들면 우주스테이션 안의 색이라든가 끊임없이 들리는 기계소리, 무엇을 먹을 것인가, 프라이버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등의 문제도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그런 환경처리가 ...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극히 일부밖에 이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위의 어렴풋한 경관이 망막에
영향
을 미쳐 안축을 늘리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이 견해도 유력한 가설의 하나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 견해에 따르면 근시초기에 안경을 잘못쓰거나 잘못된 안경을 쓰고 있으면 망막에 어렴풋한 경관이 ... ...
이전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