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스웰 사건의 진실을 캐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1947년 미국 뉴멕시코주 로스웰시 근처 사막에 UFO로 보이는 비행물체가 추락했다.50년이 지난 이 사건이 최근 주목받는 것은 당시 추락했던 UFO에 탑승했던 외계인을 생체 ... 출현 50년을 맞이해 과학동아는 로스웰 현지취재를 통해 UFO잔해와 로스웰 필름의 진위를
확인
하는 개가를 올렸다 ... ...
1. 로스웰 UFO 추락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최대 성과는 올해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었던 로스웰금속조각이 거짓이라는 사실을
확인
한 것이다. 또한 작년 국내에서도 화제를 모았던 로스웰필름(‘외계인 생체실험의 진실’ 참조)이 UFO전문가들조차 거짓이라고 주장하는 말을 들었을 때는 정말 충격이었다. 로스웰필름은 로스웰사건의 ... ...
3. 잠재의식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조사했을 때 실제로 그런 인물이 그 시간, 그 장소에서 살았고, 사소한 일들도 일치함을
확인
한 예가 많다. 환자 중심으로 사고해야미국에서 전생퇴행요법이 처음 실시된 것은 1970년대였다. 이제 20년 정도의 역사가 된 셈이다.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지금은 최면과 기억에 관한 가장 권위있는 ... ...
2. 전기로 수질오염 알아낸다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실험 결과를 얻은 기쁨보다 많은 개천이 과거의 모습을 잃고 말았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
하는 아픔을 느꼈다. 학생들은 불과 20-30년 전만 하더라도 도림천에서 미역을 감았다는 사실을 아는지 모르겠다 ... ...
4. 기억이 안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내용도 잘 떠오르지 않았다. 그는 약속 시간을 항상 수첩에 메모를 해두고 1시간마다
확인
해야 했으며, 자신이 변호할 내용도 일일이 적어놓아야 했다. 이처럼 의식이 혼탁해지지 않고 지적 기능도 정상인데 장기기억이나 단기기억에 장애가 나타나는 현상을 건망증후군이라고 한다. 어느 사건이 ... ...
96화성탐사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내 기체에는 이산화탄소가 남아 있지 않았다.가스교환 실험미생물에 의한 호흡결과를
확인
하는 실험이다. 화성 토양을 대기와 함께 채워 배양한다. 그런 다음 정기적으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해 화학조성의 변화를 살펴본다. 만약 메탄이나 이산화탄소가 증가한다면 호흡하는 미생물이 ... ...
Ⅰ 포항공대 3가지 자랑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떨어지기 때문이 아니라 번식을 위해 유전적으로 프로그램된 능동적 과정이란 사실도
확인
했다.물리학과에 들리면 이성익교수가 개발한 고온초전도체를 볼 수 있다. 이교수가 개발한 1백30K 이상의 수은계 초전도체는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이다. 기계공학과에 들리면 염영일교수와 정완균교수가 ... ...
인류의 15%, 일생에 한번은 우울증에 빠진다.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대한 유전자가 위치한다는 것이다. 신경전달물질이 우울증의 한 원인이라는 가설을
확인
시켜주는 연구 결과다. 일상적인 슬픔과 달라우리가 살아가면서 흔히 겪게 되는 정상적인 슬픔은 병적인 우울증과는 분명히 구분해야 한다. 슬플 때 나타나는 증상이 우울증의 특성들과 여러 면에서 ... ...
삼지창 모양의 공룡발자국 첫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있었다. 기대했던 해성층은 보이지 않았다. 남해안 일대에 해성층이 없다는 것을
확인
한 것만도 성과라고 자위하면서, 고성군 덕명리 봉화골 해안에 도착한 것은 마지막 날 오후였다.이곳에서 필자는 이상한 구조를 가진 회색 이암층을 발견했다. 크기와 모양이 꼭 어린이 발자국과 같았다. 호기심을 ... ...
휴대폰 사용으로 교통사고 급증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0.3초가 필요하다. 그러나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머무는 시간은 0.2초로 떨어지므로
확인
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 그 가운데 눈의 깜박임 현상이 일어나 1회에 0.1-0.05초 동안 눈을 감게 된다. 따라서 물체를 보지 않는 시간은 더 늘어난다.운전 중에 시력이 약 0.1 정도 떨어지는 것도 ... ...
이전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