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학"(으)로 총 10,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곤충을 담다] 봄을 알리는 애호랑나비 2018.05.02
- 현재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 복합 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 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in Korea Ⅰ’(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6년 캐터필러 Ι, ... ...
- “평창올림픽 드론 오륜기 설계자, 수학 기하교육에서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05.02
- 있다-김진호 기자 제공 교육부가 지난 2월 28일, 2015년 수학교육개편 내용에 따라 2021년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하 수능) 출제범위에서 기하와 벡터를 제외한다고 결정하면서 각계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은 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 ... ...
- 융합 교육의 새로운 도전, 과학예술영재학교가 궁금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5.02
- 이-아이콘(e-ICON) 세계대회'에 출전한 학생들이 점자 앱으로 2위에 오르기도 했다. 외부 대학이나 기관을 찾아 교수 및 연구원과 협동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SCI급 학술지에 게재하는 등의 과정도 눈길을 끈다. 실제로 인천대와 협업해 학생들이 참여한 나노 물질 관련 논문이 국제 학술지에 실리는 ... ...
- “빚 내서 등록금 내고 교수 ‘갑질’에 치이고”…서글픈 대학원생들동아사이언스 l2018.05.01
- 관심 분야의 지원 과제 부족(14.5%) 등이 꼽혔다. 응답자 중 한 명은 “한국에서는 대부분 대학원생이 연구를 주도한다. 전문가가 아닌 초보자가 하니 제대로 된 훈련을 받을 수도 없고 독학을 해서 각자도생 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응답자는 “연구 주제와 무관한 작업이 너무 많다. 내 ... ...
-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가지 과학동아 l2018.04.30
- 및 제안서 개인정보 수집, 조회, 활용 및 제3자 제공 동의서 참가자격 대학생 및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개인 혹은 팀 시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300만 원)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100만 원)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100만 원)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회장상(100만 원) 문의 ... ...
- 붐비는 카페서 홀로 앉는 사람은 밀 농사꾼 후손?동아사이언스 l2018.04.30
- 것으로 추정된다. -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제공 토머스 탈렘 미국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교수팀은 중국 상하이와 난징, 베이징, 선양, 광저우, 홍콩 등 6개 도시에 위치한 스타벅스를 비롯한 카페 256곳에서 8964명이 의자에 앉는 패턴을 관찰했다. 그 결과 전통적으로 쌀농사가 우세했던 지역(논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가슴 속에 묵은 한(恨)의 심리학2018.04.29
- 회담을 기원합니다. ※ 필자소개 박한선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 과정에 대한 논문을 쓰고 있다. , 를 옮겼고, , 등을 썼다 ... ...
- 엄마의 우울증이 자녀의 IQ에 끼치는 영향2018.04.29
- 발표되었습니다. GIB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의과대학 연구진의 발표에 따르면 엄마의 우울증이 자녀의 인지 발달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자녀가 16세가 될 때까지 이어진다고 하는데요. 다음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연구진은 칠레 산티아고에 거주중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2018.04.28
-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에 대해서도 ‘이게 다 네가 노력하지 않아서’, ‘네 능력이 나빠서’그런 거라며 개개인의 노력과 능력을 나무라는 이야기들을 하는 경우를 ...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 현재는 UNC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탐사활동 기지개 켰다! 어린이과학동아 l2018.04.27
-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9호 제공 올해로 벌써 6년째 탐사 대장을 맡고 계신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이 지구사랑탐사대의 커다란 영향력에 대해 설명하셨어요. 멸종위기종을 지키기 위해선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수원 청개구리의 ... ...
이전710711712713714715716717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