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뜨거운 시럽’ 맨틀에 뜬 ‘사탕’ 같은 대륙1960년대 들어 과학자들은 대륙이동설보다 훨씬 자세히 지질활동을 설명하는 ‘판구조론’을 세웠다. 전 세계 지표면은 몇 개의 판으로 나뉘어 있으며, 판이 널빤지처럼 움직인다는 이론이다. 판은 서로 부딪치거나 멀어지면서 지진이나 화산을 일으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천방지축 후손, 보물을 잃다우리나라의 긴 역사 속에는 수많은 왕이 있습니다. 왕의 진짜 모습은 임금의 초상화인 어진(御眞)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수십여 곳에 나눠 보관할 만큼 어진의 수와 종류가 많았습니다.어진은 나라와 운명을 함께 했습니다. 임진왜란으로 ... ...
- [News & Issue]과학기술인에 ‘유공자’ 칭호 붙는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과학기술 발전에 공적이 큰 과학기술인도 앞으로 ‘유공자’ 칭호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 11월 30일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법안에 따르면 과학기술유공자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경제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거나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2016년은 ‘붉은 원숭이’의 해다. 이를 기념해 이름도 비슷한 붉은털원숭이를 보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를 다녀왔다. 사회성이 뛰어나고, 인류를 위해 수많은 실험을 대신해 준 고마운 존재를 그곳에서 만났다.2016년 붉은 원숭이의 해가 밝았다. 올해는 십이지신 중 원숭이의 해이며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모든 뉴런 중 단 한 가지 종류의 뉴런을 비활성화(또는 활성화)하는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_프랜시스 크릭, 1979년 DNA 이중나선을 발견한 프랜시스 크릭이 30여 년 전에 남긴 말은 ‘광유전학’을 정확히 예언했다. 광유전학은 빛을 이용해 뉴런의 활동을 자극 혹은 억제하는 기술로, 불과 10년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사회자 오늘도 골수를 찾은 수많은 면역 줄기세포 여러분 반갑습니다. 대학 입시 설명회다, 신년회다 하면서 인간들이 바쁠 시기인데요. 이리저리 돌아다니느라 찬바람을 잔뜩 쐐 감기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장차 면역 세포를 꿈꾸는 줄기세포들에게도 가장 바쁜 시기입니다. 오늘도 입시 경향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1. 지하 700m서 암흑물질 캔다지난 12월 7일 오전 11시. 기자는 땅속 동굴로 들어가고 있었다. ‘빛이 없는 곳에서 빛을 찾는 실험실’을 보기 위해서.“표지판 보이시죠? 지상에서 1.8km를 내려왔습니다.” 기자를 안내한 강운구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 연구위원은 자동차 앞유리 너머에서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추운 겨울, 샤워하기 괴로웠던 경험 다들 있죠?물 없이도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이른바 ‘워터프리’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이것으로 위생을 유지할 수 있는지, 건강에 문제는 없는지 알아봤습니다.워터프리 제품은 물이 없어도 씻을 수 있는 제품을 말합니다. 주변에서 흔히 보는 손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학교 다닐 때, 명문대 사진을 표지로 한 노트가 유행이었다. 친구 중에는 어떤 대학에 꼭 가겠다며 그 대학노트로만 공부를 하는 친구도 있었다. 한술 더 떠 그 대학에 직접 방문하고 캠퍼스 생활을 알아보기도 했다. 추측건대 ‘합격한 이후의 삶을 꿈꾸는 것’이 힘든 수험생활을 이기는 친구만의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조항만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의 책장에는 건축학 서적보다는 디자인이나 인문학 서적이 더 많이 꽂혀 있었다. 조 교수는 “훌륭한 건축가란 공간에 좋은 이야기를 녹여내는 사람이기 때문에 다방면에 관심이 많아야 한다”고 말했다. 채연 교수님, 안녕하세요. 건축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1학년 채 ... ...
이전7127137147157167177187197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