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목
강좌
교과안
교과목
내용교과
내용
d라이브러리
"
교과
"(으)로 총 1,18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11
히스톤단백질에 DNA가 감겨있는 뉴클레오솜의 모습은 이제 전세계 거의 모든 생물학
교과
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로저 콘버그 교수는 스탠퍼드대에서 전사과정을 계속 연구했으며, 단세포 진핵생물인 효모를 사용해 전사과정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단백질 구성체를 분리하고 정제했다. 그리고 ... ...
반도체에 심은 양자컴퓨터 씨앗
과학동아
l
200611
Physical Review D) 10월호에 발표했다.안 교수는 2008년 5월 미국에서 출판될 예정인 양자역학
교과
서를 쓰느라 소설 작업을 잠시 쉬고 있다. 그는 ‘과학적인 소설’에 등장하는 양자컴퓨터를 만들어 ‘소설같은 과학’을 실현하기 위해 오늘도 상상의 ‘양자 도약’을 하고 있다 ... ...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0610
열리는 다음 IAU 총회에서 행성의 정의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교과
서 개정은 좀더 시간을 두고 지켜본 뒤 해도 늦지 않을 듯하다. 왜행성 : 태양 주위를 돌며 둥근 천체로 영어명은 ‘dwarf planet’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 ...
대기는 4층 아파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
걸음 먼저 깨치는 과학
교과
서’는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
서에 실린 내용을 쉽고 재미있게 배워나가는 코너입니다. 초등학교 때 쌓은 탄탄한 실력을 바탕으로 좀 더 깊고 폭넓은 과학 세상으로 빠져 보세요.새뮤얼 퍼거슨 박사는 열기구를 탄 채 아프리카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대담한 모험을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09
이벤트 데이는 없을까. 9월 달력을 바라보는 물리학자 개인에게도 특별한 날이 있다.
교과
서 속에 등장하는 지구의 중력가속도(9.8m/s²)를 떠올릴 수 있는 9월 8일이다. ‘중력의 날’이라고 할 수 있다.뉴턴이 사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고 만유인력(중력)을 생각해냈다는 일화는 많은 사람들이 잘 ... ...
금발 매머드, DNA 분석으로 밝혀지다
과학동아
l
200608
세계에도 ‘마릴린 먼로’처럼 금발이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그동안
교과
서에 나오는 털북숭이 매머드(Mammuthus primigenius)는 갈색 털로 뒤덮인 짐승으로 그려져 왔다.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의 미카엘 호프라이터 박사팀이 4300년 된 매머드 뼈의 DNA를 분석한 결과 매머드 일부가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08
어류, 포유류에 이르기까지 많은 해양생물을 언급한다. 대부분의 설명은 해양생물학
교과
서를 보듯 정확하다. 그러나 원구류라고 부르는 턱이 없는 칠성장어를 상어나 가오리가 속하는 연골어류로 설명한다든지, 팔이 10개인 오징어를 문어와 혼동해서 팔이 8개라고 하는 등 옥의 티가 발견되기도 ... ...
모로 가도 학교만 가면 된다
과학동아
l
200608
문제가 순열과 조합만으로 쉽게 풀리는 것들이었으니 그리 이상한 반응도 아니었다.
교과
서는 물론 참고서도 이런 방식을 소개하고 있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이런 방식의 풀이를 아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 수능 초창기에 필자가 ‘잘난 척’ 하는 데 잘 써먹었다.그런데 이제는 순열과 조합을 ... ...
1. 너희가 섹스를 아느냐
과학동아
l
200607
증대시킨다는 의미이다. 바이스만의 이론은 거의 한 세기 동안 정설로 여겨졌고 생물학
교과
서에 표준이론으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이러한 이론에 논리적 오류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생식의 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유성생식이 무성생식보다 훨씬 불리하기 때문이다.생물은 ... ...
스티븐 호킹이 행복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06
이용해 바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음성으로 듣는 것이다. 2D 바코드는 크기가 작아서
교과
서, 잡지, 신문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시각장애인이 주민등록등본 같은 문서의 내용을 스스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2D 바코드를 문서에 삽입하면 혼자서 얼마든지 내용을 파악할 수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