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서┃은하단과 은하군, 은하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훨씬 많이 휜다. 이를 통해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거대한 질량의 암흑물질이 은하단을 가득 메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은하은하는 항성과 성간물질, 그리고 암흑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묶인 천체 무리다. 작은 은하에는 1000만 개 이하의 항성이 있고, 큰 것들은 100조 개의 항성을 갖고 ... ...
- 탐험┃한국, 달 항해하는 한국과학동아 l2019년 07호
- 75t급 액체엔진 4기를 묶은 300t급 엔진이 달린 1단과 7t급 액체엔진이 달린 3단 등 총 3단으로 구성된다. 첫 발사는 2021년으로 예정돼 있다. 한국은 아직 지구 궤도를 벗어난 우주로 탐사선을 보낸 경험이 없다. 누리호 개발과 함께 달 탐사 계획도 마련해 관련 기술을 다각도로 확보하는 데 힘쓰고 ... ...
- [과학뉴스]우주여행이 코앞에? 민간 우주선, ISS 찍고 돌아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첫 민간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이 우주로 향했어요. 단 우주선 안에 사람은 타지 않았으며, ‘리플리’라는 여성 마네킹이 유일한 탑승객이었지요. 우주로 나간 크루 드래건은 지구를 18바퀴 돌면서 방향과 속도를 수정했고, 3월 3일 오전 5시 51분(미국 동부 표준시),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이진우는 우주에서 다양한 과학실험을 하고 싶다는 과학자로서의 욕망만 있는 단순한 존재는 아니었다. 그에게는 우주를 동경했으나 열 살 때 뇌종양으로 생을 마감한 여동생에 대한 그리움이 남아 있었다. 그의 직장은 민영화를 앞두고 있었고, 그는 팀장과의 갈등으로 사직 압력을 받았다. 그의 ...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플림톤 322’라는 이름이 붙은 점토판에는 각각 15줄씩 4단락으로 나뉘어 쐐기문자가 적혀 있는데 학자들은 이를 60진법의 자연수라고 해석했습니다. 특히 1940년대에는 이 점토판에서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제곱의 합은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특화된 스마트폰 ‘메이트 20’을 개발했다. 구글은 2017년 10월 ‘알파고 제로’에 단 4개의 TPU(인공지능 전용 반도체) 칩을 적용했다. 이세돌과 대전을 펼친 ‘알파고 리’에 비해 칩 개수는 12분의 1, 전력 소모는 10분의 1로 줄였다. 고성능 시스템반도체를 만드는 방식은 여러 가지다. 현재 가장 ... ...
-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6호
- 한 게시판에 ‘스즈미야 하루히 14편을 모든 순서로 보려면 최소 몇 편을 봐야할까? 단, 겹쳐도 상관없다’는 질문이 올라왔습니다. 질문을 이해하기 위해 1, 2, 3편으로만 생각해보겠습니다. 1, 2, 3편을 보는 순서 조합은 1-2-3, 2-3-1, 3-1-2, 2-1-3, 1-3-2, 3-2-1로 총 3!(=3×2×1)가지입니다. 모든 순 ...
- 수학으로 테러 조직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꼭지를 선택하거나 B, C를 선택하면 되겠죠. 이처럼 k에 대한 절단 집합은 정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k개의 원소를 고르는 집합입니다.' 참고자료Jonathan Farley ‘Breaking Al Qaeda Cells: A Mathematical Analysis of Counterterrorism Operations(A G ...
- 올챙이 꼬리 ‘이것’ 덕분에 재생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사용한 아프리카발톱개구리(Xenopus laevis)의 올챙이는 일생 동안 꼬리를 재생할 수 있다. 단, 수정 후 5일쯤 됐을 때 재생이 불가능한 시기가 이틀간 존재한다. 연구팀은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이용해 재생이 가능한 시기와 불가능한 시기의 차이점을 조사한 결과, 재생이 가능한 시기에는 ‘ROC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화학자 존 돌턴은 산소와 수소는 단 하나의 화합물을 구성하며, 이때 원자들은 최대한 단순한 정수비로 결합한다고 가정해 물이 수소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하나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후 많은 화학자들이 연소 분석을 통해 물의 구조에 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프랑스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