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국내 대학과 미국 알라스카대, 퍼시픽노 스웨스트 국립연구소의 연구진이 함께 이뤄낸
성과
였다.2013년 발표된 제5차 정부 간 기후변화협의체(IPCC)보고서는 지난 100여 년 동안 전 지구 평균기온이 약 0.8℃ 정도 상승했다는 사실을 알렸다. 이보다 충격적인 사실은 북극지역은 100년 동안 약 3℃ 정도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제조기’라는 별명이 붙어 있다. 힉스 입자 발견에서 보듯 그만큼 혁명적인 연구
성과
를 내왔다. 하지만 매우 커다란 단점이 있다. 바로 크기다. 가속기는 전파의 일종인 마이크로파(300MHz~30GHz)나 라디오파(10kHz~300MHz)를 이용해 하전입자를 가속한다. 강한 세기의 전파를 금속관에 넣으면 전파가 ... ...
“본
성과
교육, 무엇이 더 강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브렌다를 실험대상으로 삼은 머니 박사의 연구가 잘못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본
성과
양육이라는 두 추는 다시 균형을 이뤘다. 아니, 이 책만 읽는다면 본성에 좀더 추를 얹고 싶은 마음이 든다.이 책은 분명 흥미로운 책이다. 책을 펴든 순간 끝까지 책장을 넘기지 않고는 못 배길 정도로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있었지만 수학을 즐겼기 때문에 이 자리까지 올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수학은 단기간에
성과
를 낼 수 있는 학문이 아니기 때문에 끈기가 필요해요. 한 문제에도 몇 년을 투자할 수 있는 끈기와 열정, 그리고 무엇보다도 수학을 즐기는 마음가짐을 간직하세요.”14 : 00 이매지너리 전시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기업가 정신 강연이나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송정현 씨는 이번 발굴에서 가장 큰
성과
를 올렸다. 경사 지층에서 거대한 공룡의 다리와 발바닥 뼈를 발굴했다. 잘 하면 내부에 온전한 몸이나 두개골이 나올 수도 있는 화석이었다. 이융남 박사는 “화석 발굴의 정석”이라고 평했다. 직장인인 조범기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분야를 더욱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면, 분명히 필즈상이나 노벨상 수상 같은 좋은
성과
로 이어질 겁니다.젤마노프 교수의 말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이 많이 유학하고 있는 미국에서는 한국 수학자들의 실력을 잘 알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미국에서 연구하는 많은 필즈상 수상자들이 한국 ... ...
뭉치면 강하다 군집로봇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기대감도 커졌다. 그리고 2014년. 세월호 참사 등 여러 재난현장에 등장한 로봇은 별다른
성과
를 거두지 못했고 대중의 기대는 무참히 깨졌다. 이제 로봇공학자들은 다른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작고 단순하게 움직이면서, 주변 로봇과 협력하는 ‘군집로봇’이다. 1파트는 전세계 다양한 연구실에서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조작 횟수)’ 역시 중요한 지표가 된다. 초전도 방식은 최근 이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
를 거뒀다.“십수 년 전만 해도 하나의 큐비트로 10번 정도밖에 연산을 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초전도 큐비트는 이후 3년마다 결맞음시간(양자정보를 유지하는 시간)이 10배씩 늘어났지요. ‘무어의 법칙’을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생긴 것은 불과 3년 전이다. 그리고 올해 처음으로 학부신입생을 받았다. 과학기술의
성과
는 투자와 시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제 막 발걸음을 시작한 DGIST의 미래가 기대되는 이유다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수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사람이 되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다시 말해 공동연구를 통해
성과
를 내고, 제 아이디어가 또 다른 수학 연구의 바탕이 됐으면 하는 거죠.수학자를 꿈꾸는 친구들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제가 우리나라와 미국 양쪽에서 수학 공부를 해 보니, 확실히 우리나라에는 협력보다는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