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옥찬영_ock.chanyoung@g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병원에서 수련의 및 내과 전공의 수료, 혈액종양내과 임상강사를 마쳤다. 서울대병원 근무 중 15편의 SCI 논문을 포함해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암연구학회 중 가장 저명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Merit award를 받았고, 서울시의사회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힘들게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일본 최고의 명문대인 도쿄대에 입학한 그는, 수학을 전공했지만 졸업 후 다시 물리학을 공부해 동기생들보다 2년 늦게 대학원에 들어갔다. 세계적인 이론물리학자 구보 료고 교수의 연구실에서 자성을 띠는 금속(자석) 안에서 일어나는 전자의 움직임을 연구했다.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결과가 나와 칼로리 제한 가설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에 대해 박상철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이 연구 결과에 대한 재현이 여전히 이뤄지지 않아, 얼마나 신뢰도가 높은 연구인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3 후성유전 고지방식 섭취는 노화의 지름길 식습관의 효과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72+7+1=57장 필요하다. 하지만 도블의 카드는 55장이다. 도블 제작자가 일부러 2장을 뺐다.전공 살려 만든 보드게임김 교수는 수학적 원리로 만들어진 도블이 인기가 있는 걸 보고, 수학 보드게임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사실 김 교수가 수학자의 길을 걷게 된건 마방진 때문이다. 마방진은 가로, 세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매우 중요하다는 걸 증명한 셈입니다. 최영은(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부른다. 그런 파커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 사람이 마틴 가드너다.가드너는 수학을 전공하지 않았지만 현대수학과 퍼즐을 연결하는 귀신같은 재주가 있었다. 그렇게 찾은 수학을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25년간 연재했고, 대중에게 마방진과 플렉사곤 같은 수학 퍼즐을 ...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분자의 확산 속도가 느려 센서의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단백질과 DNA 등 바이오 분자에 나노 크기의 초상자성 입자를 부착했다. 초상자성입자는 주변에 자기장이 있을 때만 자석으로 변하는 입자다. 또 거미줄 모양을 본 따 미세 자기장 패턴을 만들고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삼성종합기술원 부사장을 거쳐 현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를 지내고 있다. ‘100세인 이야기’, ‘노화 혁명’, ‘당신의 백년을 설계하라’등 노화전문서적을 집필했다. + 더 읽을거리1) doi:10.1038/270301a02) doi:10.1093/geronj/11.3.2983) doi:10.1126/science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교수는 지난 3년 동안 최지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 이강택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교수 등 DGIST 내 8명의 교수 그리고 여러 연구원과 함께 그린 바이오 콤플렉스(Green Bio Complex, 이하 GBC)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도시생활을 하는 현대인이 작물과 동물을 더욱 깨끗하고 손쉽게 기를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음악은 인간만이 가진 고유한 특성이다. 우리가 흔히 ‘노래’라고 표현하는 새 소리도, 사실은 언어에 더 가깝다. 원숭이 등 상대적으로 인류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동물들도 노래를 만들거나 부를 줄은 모른다.도대체 음악은 어떻게 처음 생겨났을까. 학자에 따라, 그리고 관점에 따라 시나리오는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