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d라이브러리
"
학회
"(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가서 논문을 줄일 수 없다고 설득했다. 그리고 4월 5일에 자신의 뜻대로 3부작 논문을 ‘철
학회
보’에 투고했다.보어의 ‘위대한 3부작’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어 있다. 먼저 이 논문의 목표는 플랑크의 복사 이론을 러더퍼드의 원자모형에 적용하는 것이다. 1부는 러더퍼드 원자모형의 문제점을 ...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발굴을 했지요. 특히 중국이 자존심을 걸고 달려들었습니다. 지금도 중국에서 발간하는
학회
지에는 중국에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을 발견했다는 논문이 가끔 발표되곤 합니다(사실로 확인된 적은 없습니다).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이럴 정도니, 가장 인기가 좋은 네안데르탈인을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2000년대 중반에 심해에서는 기묘한 동물이 발견됐다. 소화기관이 모두 퇴화된 채, 깊은 대양 속에 가라앉은 거대한 고래 사체의 뼈에 식물처럼 ‘뿌리’를 박고 양분을 빨 ... 처음봐서 생물이 이용하지 못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연구결과는 ‘영국왕립
학회
보B’ 8월 14일자에 실렸다 ... ...
마취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것이다. 특히 천식과 폐결핵 같은 호흡기 질환이 주요 목표였다.이들은 1798년 기체치료
학회
(Pneumatic Institute)를 결성해 적극적으로 가스의 생리적 기능을 연구하게 된다. 그러나 연구 결과 찾아낸 것은 질병의 치료법이 아닌 극심한 통증을 조절하는 마취 효과였다.그들이 시험한 가스 중에는 ... ...
해리 스위니 교수, 볼츠만 메달 수상! 검은 비닐봉투와 수선화의 공통점은?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통계물리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릴 만큼 큰 상으로, 1975년부터 3년마다 국제통계물리
학회
에서 수여하고 있다.스위니 교수는 카오스 이론 분야에 기여한 업적으로 이번 상을 수상했다. 는 스위니 교수의 볼츠만 메달 수상을 기념해 열린 강연회에서 교수님을 만났다.“흥미롭게도 우리 ...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자리에 모인 참가자들은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서 열리는 브릿지
학회
에 대한 큰 기대를 나타냈다.내년 한국에서는 또 얼마나 새롭고 흥미로운 융합수학을 만날 수 있을까? 독자들도 자기가 만든 수학 구조물이나 예술 작품,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으니,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다양한 RNA 바이러스의 분자생물학을 연구하며 현재 국제바이러스계통분류위원회의 한국
학회
대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이러스의 인간사육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Part 3. ... ...
일본을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열등성을 강조하기 위해 ABO식 혈액형 분류 연구에 집착했다는 연구 논문을 대한의사
학회
지에 발표했습니다.당시 일본은 진화한 민족일수록 A형이 B형보다 많다는 독일의 이론에 따라 일본인이 한국인보다 우월 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A형이 더 많았거든요. 결국 식민지배를 ... ...
다섯 가지 과학을 입으면 IRON MAN 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뜨거운 햇볕이 쏟아지는 사막에 유일하게 어두컴컴한 곳이 있었어. 그 동굴 앞에서는 온갖 무기로 무장한 게릴라 군들이 눈을 번뜩이면서 누군가가 동굴 입구로 나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지. 그때 우르르~ 큰 소리와 함께 땅이 흔들리며 모래바람이 일어났어. 동굴 속에 갇혀 있던 그가 천정을 뚫고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불임에 실패한 숫자가 2000마리로 결코 적지 않다. 최근 캐나다 연구진이 영국 ‘왕립
학회
보B’에 게재한 논문은 이 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실험실에서 GM 연어와 근연종인 브라운 송어를 교배시켰다. 그 결과 태어난 잡종 자손의 성장속도와 생존력이 부모에 비해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