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지
땅
지상
대지
육지대
토지
뭍
뉴스
"
대륙
"(으)로 총 1,007건 검색되었습니다.
평창 겨울올림픽, 2200만년 전 동해 덕 봤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9
작은 규모로 생겨났다. 이 흐름이
대륙
을 분리하면서 동해가 만들어지고, 일본 지역이
대륙
에서 떨어져 나갔다. 한반도의 동쪽도 이때 중국 방향으로 강한 힘을 받아 지금의 태백산맥이 만들어졌다. 연구팀은 “평창은 수억 년 동안 일어난 지질 현상이 모여 만들어진 올림픽 개최지”라며 ... ...
백악기 초 호주-남극 사이 계곡에 칠면조 크기 공룡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공룡 만(Dinosaur Cove)’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발견된 공룡 화석은 호주를 비롯해 남극
대륙
의 과거 환경 및 생태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에 발견된 화석은 이 지역에 살았던 조각류 공룡이 기존에 알려진 조각류와는 다른 체형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연구를 진행한 매트 헤른 박사는 “이 ... ...
지구온난화 여파? 엘니뇨로 남극 빙하 방어막 무너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9
하는 빙붕이 줄면 그만큼
대륙
빙하도 더 빨리 녹게 된다. 관찰 기간 동안 아문센해 남극
대륙
빙하의 평균 높이는 연간 20㎝씩 감소해 총 5m 가량 낮아졌다. 파올로 연구원은 “엘니뇨 현상에 의한 빙붕의 변화를 추적한 이번 연구 결과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데 ... ...
[짬짜면 과학 교실] 수박과 달걀에서 발견한 지구
2018.01.06
‘지각’이 있습니다. 지각은 지구의 표면에 단단한 고체로 자리해 있습니다. 그 두께는
대륙
은 약 30㎞이고 해양은 훨씬 얇아 약 5㎞에 불과해 지각 전체의 부피는 지구의 1%밖에 안 된답니다. 지각이 끝나는 데부터, 즉 땅속의 약 30~2900㎞는 ‘맨틀’입니다. 맨틀은 지구 전체 부피의 82%나 ... ...
2018년 황금 개의 해 아닌 황금 늑대의 해일 수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2018년 무술(戊戌)년은 육십갑자로 따지면 누런(黃) 개의 해다. 누런색이 금색과 닮아 복을 부르는 의미로 ‘황금개’의 해라고도 한다. 그런 ... 현생 개를 찾아 나섰다. 연구 결과 개 조상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은 아프리카
대륙
에서 진화한 품종 ‘바센지’로 나타났다. 동아일보 ... ...
아메리카
대륙
처음 밟은 인류는 3만6000년 전 동아시아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1만5000~1만4000년 전에는 가능했을 거다. 이들이 베링기아를 넘어온 뒤에 어떻게 아메리카
대륙
내부에서 이주했을지에 관해서는 여러 시나리오를 제기해 볼 수 있다 ... ...
[그것을 알려 줄개①] 진돗개, 차우차우...진짜 ‘황금개’는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8.01.01
색이 황색입니다. ● 후보 2:
대륙
의 위엄에 걸맞는 사자개, 차우차우 중국은
대륙
이라는 위엄에 걸맞게 다양한 중국 토종개가 있습니다. 잘 알려진 중국 출신(?) 개는 얼굴이 납작한 페키니즈나 시추가 있습니다. 남중국에서 유래된 샤페이는 쭈글쭈글한 주름이 가득한 얼굴로 유명합니다. ... ...
수도권 큰 눈 어디서 왔을까? 서해 수증기가 근원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막히기 때문이다. ●화이트 크리스마스 기대해도 될까 앞으로 며칠 동안은 겨울에
대륙
고기압이 확장하는 과정에서 기압골이 우리나라를 지나가면서 서풍과 함께 더 많은 눈이 내릴 전망이다. 이를 근거로 기상청은 17일 오후 눈이 그쳤지만 당분간은 눈 소식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보했다. 2 ... ...
3400만 년 전 지구온난화 땐 바다 속에 빙하 많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7
얼음이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후 얼음은 점신세와 중신세 동안 사브리나 연안
대륙
붕에서 최소 11번에 걸쳐 전진하고 후퇴하길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인위적인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는 향후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EAIS가 역동적인 양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 ...
“현생인류, 12만 년 전 아프리카 벗어나 아시아에 첫 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교수는 “덥고 습한 기후와 건조한 기후가 2만 년 주기로 반복되던 이 지역(아프리카
대륙
과 아라비아반도)은 7만~6만 년 전 사이에 급격히 춥고 건조해졌다”며 ”생존을 위한 이주가 이때 집중적으로 이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 교수는 “새 증거들을 종합하면 인류는 6만 년 전 이전에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