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뉴스
"
새로운
"(으)로 총 11,57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국내 최초 인공위성 개발한 최순달 박사 추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넷(PROFiT-Net)’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화학 개념을 학습하고 소재 예측,
새로운
물질 설계, 물질의 물성 예측에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는 AI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지난달 25일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봉훈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 ...
"삼성디스플레이 공장에 방사선 이용 악취 제거 시스템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기존 품종을 개량할 수도 있다. 방사선육종은 낮은 수준의 방사선을 종자에 쪼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방식이다. 유전자 변이를 무작위로 일으켜 우수한 형질을 가진 변이를 선별할 수 있다. 지난 8월 첨단방사선연구소는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도 한국에서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슈퍼푸드인 ... ...
3D프린팅으로 극한 우주환경 버티는 신소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있다. 이번 연구의 책임자인 박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극한환경용 신합금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중요한 사례”라면서 “기존 우주탐사용 부품의 제조 한계를 뛰어넘는 3D프린팅 기술을 통해 우주발사체용 부품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향후 본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거의 유일한 기작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1998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완전히
새로운
원리가 밝혀진다. ● 유전자 발현을 스위치처럼 강하게 꺼버리는 RNA 간섭 1998년 앤드류 파이어(Andrew Fire)와 크레익 멜로(Craig Mello)는 예쁜꼬마선충(학명 Caebirhabiditis elegans)에 이중가닥 RNA(double-stranded RNA)를 ... ...
백혈병 암세포만 골라 제거하는 '나노입자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혈액암이다. 또 기존 항암화학요법은 부작용이 크고 고령자가 견디기 어려워
새로운
치료법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백혈병 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CD13을 표적으로 삼는 치료법을 찾았다. CD13에 강하게 결합하는 단일 도메인 항체인 나노바디(aCD13Nb)와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TRAIL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생각한다"면서 "단백질을 인간이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인식을 깨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한범 연구원은 또 "베이커 교수는 변함 없이 연구실 한명 한명의 연구 방향을 정확하게 다 이해하고 있고 매번 어떻게 개선을 할 것인가 고민했던 지도 ... ...
[노벨상 2024] 'AI 생화학 무기' 나올까…화학상 수상 베이커 교수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조항들이 포함돼 있다. AI를 기반으로 한 단백질 설계는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고
새로운
단백질을 디자인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신약 개발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인류의 건강과 생명에 큰 혜택이 된다는 점에서 이번 노벨 화학상은 관련 연구자인 베이커 교수와 ... ...
[노벨상 2024] 새 단백질 찾고 AI로 구조 예측한 과학자 3명 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교수는 2003년 단백질의 기본 요소인 아미노산을 사용해 기존 단백질과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단백질을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베이커 교수의 연구팀은 의약품, 백신, 나노물질, 초소형 센서 등으로 쓰일 수 있는 단백질을 잇달아 만들었다. 단백질의 기능은 아미노산이 긴 가닥으로 연결되고 ... ...
매운 음식에도 플라시보 효과…맵지 않을까 걱정하면 더 고통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기대가 주관적 경험과 신경 반응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밝혀 통증 지각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 doi.org/10.1371/journal.pbio.300281 ... ...
[노벨상 2024] 인공지능 핵심 '머신러닝' 토대 구축한 과학자 2명 물리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볼츠만 머신'을 개발했다. 볼츠만 머신은 이미지를 분류하거나 학습된 패턴 유형에 대한
새로운
예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의 연구가 큰 혜택을 가져왔다"며 "물리학에서 신소재 개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인공신경망을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