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세로"(으)로 총 74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혜성, 불행과 변화의 상징?동아사이언스 l2013.12.13
- 직촛점에 놓여서 천체를 관측하는 수프림-캠(Supreme-cam)이라는 장비는 가로 2048화소, 세로 4096화소로 이루어진 모자이크 CCD 카메라다. 이것은 달이 한 화면에 들어오는 정토의 시야를 갖고 있다. 지난 주에는 이 카메라로 촬영한 러브조이 혜성의 사진(http://static.howstuffworks.com/gif/comet-lovejoy-big-131206.jpg ... ...
- 낡은 아파트 층간소음 문제 해결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12.13
- 수 있는 메타물질 개발에 주력했다. 그 결과, 50~80Hz인 소음을 가장 잘 흡수하려면 가로 세로 각각 10cm, 높이 10mm의 오목한 방을 만들어 주면 음파가 빠져 나오지 못하고 소멸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구조를 나란히 연결해 넓은 판으로 만들어 천장에 시공하자 저주파 층간소음을 대부분 막을 수 ... ...
- 발굴의 한 획을 그은 천마총동아사이언스 l2013.11.27
- 11,526점에 달하는 엄청난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중 천마도의 크기는 가로 75센티미터, 세로 56센티미터, 두께 0.6센티미터로 용도는 ‘말다래’이다. 장니(障泥)라고도 불리는 말다래는 말안장에서 늘어뜨려 진흙이 사람에게 튀는 것을 막는 장식이다. 말 안장의 좌우에 매달던 것이므로 처음 발굴될 ... ...
- 해저 3000m 환경, 땅 위에서 실험한다고?동아사이언스 l2013.11.25
- 길이 100m, 폭 50m, 수심 15m 크기이고, 수조 중앙에는 깊이 50m에 가로 16m, 세로 8m 깊이의 구덩이를 만들어 심해 3000m 환경을 그대로 재현한다. 이 밖에 심해 자원탐사용 바지선이나 시추장비 등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조류발생장치, 해저 자원개발용 구조물의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 ...
- 순간의 물방울도 머물지 않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2013.11.24
- 하지만 이런 중성미자도 아이스큐브에는 모습을 드러낸다. 아이스큐브는 가로, 세로, 높이가 1㎞인 정육면체로 빙하 아래 3㎞에 설치된 중성미자 검출용 망원경이다. 아이스큐브에는 5160개의 디지털광학기기와 86개의 줄이 설치돼 있다. 중성미자는 얼음 속의 수소이온에 부딪혀 ‘상호작용’을 ... ...
- 아이손 혜성은 왜 녹색일까?동아사이언스 l2013.11.21
- 곧바로 기체가 되어 코마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표) 물의 상태도. 가로축은 온도, 세로축은 압력이다. 1atm은 1기압을 말한다. 파란 선은 물의 고체 상태인 얼음, 액체 상태인 물, 기체 상태인 수증기를 나누는 경계선이다 어떤 여학생이 물었다. "혜성 사진을 보니까 반짝반짝하던데, ... ...
- 올 봄 월북한 독수리 어디서 뭐할까?동아사이언스 l2013.11.19
- 이번 연구가 가능했던 이유는 새로 개발한 야생동물위치추적기 ‘WT-200’ 덕분이다. 가로 세로 각각 46mm 76mm, 무게 40g인 이 장치는 야생동물의 몸에 부착해 이동경로를 파악하거나 멧돼지나 고라니의 출몰 위치, 조류인플루엔자 등 동물성 질병 전파 등 다양한 연구에 쓰이기 위해 개발됐다. ... ...
- 고교생 우주발사체, “재미도 있고, 의미도 있고”동아닷컴 l2013.11.18
- 8명의 고교생들이 우주발사체를 쏘아 올렸다. 이날 충남 서산시 인근 바닷가에서 가로 및 세로 24cm, 높이 18cm, 무게 980g 크기의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교생들이 발사한 우주발사체에는 헬륨가스가 든 풍선을 연결해 5m/s 속도로 성층권 30km 지점까지 올라가도록 제작된 것으로 ... ...
- 연구자와 농부의 정보공유가 식량문제 해결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10.18
- 옥수수가 형태와 특성에 따라 나뉘어 재배되고 있다. 재배지의 가장자리에는 가로 10m, 세로 30m 크기의 거치대에 카메라가 설치돼, 상하 좌우로 움직이면서 옥수수의 생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점검해 물과 질소비료의 양 등 재배 환경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재배된 ... ...
- 조선 후기 수학자 최석정, 과기인 명예의 전당에동아사이언스 l2013.10.07
- 에서 스위스 수학자 오일러보다 60년 이상 앞서 마방진을 소개했다. 마방진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n칸으로 구성돼 1부터 n제곱까지의 수를 한번씩 써 넣어 각 행과 열, 대각선의 각 방향의 합이 모두 같도록 만든 행렬이다. 한만춘 박사는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제557호로 등록된 '연세 101 아날로그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