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혼잡
잡담
분류
혼란복잡 구문
복잡한 사물
분규
스페셜
"
복잡
"(으)로 총 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그 시작이 선이나 면이 아니라 점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며 “대단히
복잡
한 이론을 풀어낸 것”이라고 말했다. 정상우주론-대폭발이론 논쟁을 종결시킨 호킹은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을 결합하는 연구에 나섰다. 연구 결과 블랙홀이 입자를 내뿜을 수 있다는 ‘호킹 복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꽃가루가 수분해 나온 교잡종으로 밝혀졌다. 감귤류 가계도를 보면 이런 관계들이 좀
복잡
하지만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감귤류 58가지의 게놈을 토대로 구성한 가계도다. 만다린이 중심에 있지만 포멜로가 약방의 감초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위는 감귤류 각각의 게놈에서 원종 기여도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행복 거리들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14일 동안의 추적연구에서도 자기 개념이
복잡
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몇 가지 기분 좋거나 기분 나쁜 일에 의해 기분이 요동을 치는 정도가 덜 한 등 ‘평정심’을 더 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를 포함, 글을 쓰는 등의 창작 활동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풍부한 내면에는 닿을 수가 없기 때문에 우리는 세상에서 자기 자신이 가장 심오하고
복잡
한 내면 세계의 소유자인 것처럼 생각하곤 한다. 그렇게 나의 웃음에는 여러가지 복합적인 의미가 담겨져 있을 수 있으나 타인의 웃음은 그냥 ‘행복’을 의미한다고 여기며 타인에 대해 쉽게 고민이 없는 것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가축화와 초기 쓸모(가축화 이유)라는 주제는 고고학연구에서 길고도
복잡
한 역사가 있다. - 마리아 구아그닌 등, 지난해 11월 16일 ‘인류학적 고고학 저널’ 사이트의에 공개된 한 논문 지난주 금요일 ‘동아일보’ 과학면에 실린 ‘올해 무술년은 황금개의 해가 아닌 황금늑대의 해일수도...’라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인정받고 싶은 마음이 한켠에 있었던 모양이다. 마추픽추 - pixabay 제공 이런
복잡
한 경험을 한 이후로는, 물론 싫어도 해야하는 일들이 존재하지만, 적어도 한 두가지 정도는 순전히 나의 선택으로, 그저 그 일을 하는 내가 기쁘고 즐거워서 하는 성격의 것들로 채워 두는 게 정신 건강에 좋겠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예로는 해양을 들 수 있는데, 수온의 차이와 염분의 차이로 이중 확산 대류가 일어나면서
복잡
한 해류가 발생한다. 색소를 탄 맹물(에스프레소 역할)과 소금물(우유 역할)로 다층구조가 나오는 조건을 찾은 결과 밀도가 낮은 액체를 튜입하는 속도가 어느 정도 이상이 돼 두 층의 밀도 기울기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내부로 받아들였다. 연구자들은 새로운 염기쌍이 실제 작동한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복잡
한 대장균 게놈(460만 염기쌍) 대신 플라스미드(plasmid)라는 원형 DNA 가닥에 비정규 염기쌍(X:Y로 표시)을 하나 집어넣었다. 즉 플라스미드의 DNA 염기쌍 2686개 가운데 하나가 X:Y인 것. 이 플라스미드를 대장균 안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제목으로 에세이 몇 편을 풀어 설명한다. 부담 없는 제목에 재미를 기대하고 왔다가
복잡
한 내용을 딱딱하게 설명하는 강의에 지쳐서인지 질의응답 시간에 질문이 없어 썰렁하고 어색하게 끝나는 경우가 보통인데 한 번은 한 분이 ‘날카로운’ 질문을 던져 꽤 당황한 기억이 난다. 2005년 일본 ... ...
금속이 연성을 잃는 한계는 어디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29
네이처 제공 수도관 아닙니다. 이번주 네이처 표지는 푸른 바탕에 구릿빛 선이
복잡
하게 얽혀있는 그림입니다. 아무런 규칙성이 없어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각 선은 나름대로 격자를 만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그러진 부분도 있고요. 이 그림의 주인공은 원자번호 73번인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