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이 느끼는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공장에서 쓰는 진동형 기계도 뼈나 척추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낮은 진동은 한 번에
큰
충격을 주지는 않지만 규칙적으로 힘을 가해 알지 못하는 사이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농업이나 산림업에 일하는 사람이 당하는 부상의 40%가 진동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바있다. 연구팀은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된다. 무엇보다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직접 만들어 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 그러면 종이접기의 능력을 맛보기 전에 종이접기의 기본 공리를 살펴보자.종이접기의 기본 공리1991년 일본의 수학자 후미아키 후지타는 종이접기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종이접기의 기본 공리를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할아버지 별이 돼 버릴 거야. 적색거성이 되면 태양은 크기가 지금보다 100배 정도로
큰
뚱뚱보 별이돼. 그럼 수성과 금성은 태양에 녹아 들어가고, 지구도 태양열 때문에 흔적도 없이 타 버리고 말 거야. 물론, 과학자들은 이런 현상으로부터 지구를 구하려는 연구도 하고 있어.”인류가 있다면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수를 이용해 개수를 세고 합계를 내는 일을 했음을 알 수 있다.모든 수를 포함하는 가장
큰
수 체계를 우리는 복소수라고 한다. 복소수는 영어로 complex number라고 하며 complex는 ‘둘러싸다’, ‘껴안다’ 의미를 갖는 라틴어 complexus(콤플렉수스)에서 유래했다. 또 라틴어 completere(콤플레테레)에서 ... ...
지하철, 사람이 많다면 다음 열차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전체 구간의 평균속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정차시간이 전체 이동시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사람이 많을 때는 무리해서 열차를 타는 것보다 다음 열차를 기다리는 편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결론입니다.연구원은 현재 승객수와 정차시간에 따른 열차 지연시간을 계산할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엄청난 혼 란을 준다. 실제 2003년 10월 28, 29일 발생한 강력한 태 양 폭발은 세계적으로
큰
손실을 줬다. 한국도 다목적실 용위성 아리랑 2호의 고도가 평상시보다 6배나 떨어졌 고 통신위성인 무궁화 1호에도 안전조치가 내려졌다.우 주기상 예보 체계를 갖추게 되면 태양풍으로 위성이 사 라지거나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표현했고 쉽게 잡아내기 힘든 구도로 일체의 연출 없이 나비의 아름다움을 담았기에
큰
점수를 줬다. 대상을 받은 류종성 씨에게 축하의 박수를 보낸다. - 심사위원장 생태사진가 서정화(한국생태사진가협회 이사) 사람이 선물한 까치밥, 진딧물이 만든 단물“먹는 게 남는 것.” 동물의 세계에도 이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다.유로파 다음에 있는 가니메데는 목성에서뿐 아니라 우리 태양계에서도 첫 번째로
큰
위성이다. 갈릴레오 위성 중에서 맨 바깥을 도는 칼리스토 역시 덩치가 커 크기가 태양계에서 세 번째다. 둘은 크기와 밀도가 비 슷하지만 그 내부 구조는 매우 다르다. 가니메데는 암석으로 이뤄진 핵과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KAIST 교수로 일했다. 그가 말하는 ‘발전하는 학생’에 대한 얘기는 새겨들을 만하다.“
큰
아이디어는 교수가 제시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이 아이디어를 계속해서 발전시키는 건 학생들이죠. 여러 시도를 충분히 해보는 가운데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니까요.시도는 하지 않은 채 머릿속으로만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제는 우리의 원자력 기술이 세계화에 앞장서고 국제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게
큰
자부심이죠.”아직까지 ‘핵주권’ 제약에 의해 구현이 늦춰진 기술이 많지만 점차 현실단계에서의 가능성을 준비할 때다. 핵재료연구실은 각종 국제회의에 참가해 납-비스무스 냉각기술을 비롯한 원천기술을 ... ...
이전
716
717
718
719
720
721
722
723
7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