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1930년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의 유골 일부가 실려 있음.2006년 1월 뉴호라이즌호 발사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아틀라스 V로켓에 실려 발사 됨. 발사 1시간 뒤에 발사체에서 분리돼 날아감.2007년 2월 목성 중력을 이용해 가속목성에 다가간 뉴호라이즌호는 ... ...
-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지난 8월 1일, 동아사이언스 사옥 사이언스홀에서 기생충 박사 서민 교수님의 강연이 열렸어요. 강연에는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으로 활동하는 10명의 기자도 참석했지요.남들은 자세히 보기도 꺼려하는 기생충을 서민 교수님은 왜 연구하게 된 걸까요?교수님의 재치에 웃음이 빵~빵~! 터지던 강연 ... ...
- 지구의 사촌 행성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그리 먼 미래의 일이 아닐지도 몰라요. 지구와 닮은 제2의 지구를 발견했거든요.지난 7월 23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태양계 밖에서 지구와 닮은 행성 ‘케플러-452b’를 발견했다고 밝혔어요. 케플러-452b는 지구에서 1400광년 떨어진 곳에 있어요. 지구에서 보면 백조자리에 속해 있죠.케플러-452b는 ... ...
- 명왕성의 진짜 얼굴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지금도 뉴호라이즌호는 1초에 약 2000비트 속도로 데이터를 보내오고 있으며, 남은 16개월 동안 계속해서 명왕성에 대한 데이터를 지구로 보낼 예정이에요. 뉴호라이즌호가 밝힌 명왕성의 비밀은 미국항공우주국 뉴호라이즌호 홈페이지(https://www.nasa.gov/mission_pages/newhorizons)나 트위터(twitter.com .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뒤엎는 일이었어요.말매미의 출현이 가장 빨랐던 지역은 서울 잠실지역으로, 2012년 6월 15일쯤이었어요.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수도권에 말매미가 출현했고, 안동이나 전주와 같은 남쪽 지방에도 점차 나타나기 시작했지요. 그래서 제주도나 남쪽 지방은 잠실보다 몇 주가 지난 후에야 말매미를 볼 수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豪雨注意報 호우주의보 (왕성할 호, 비 우, 집중할 주, 뜻 의, 알릴 보)‘호(豪)’는 기운이나 세력이 왕성함을 나타내는 한자예요. 용기가 뛰어난 사람을 뜻하는 ‘호걸’이 ... 만큼 빠른 속도로 부는 바람과 세차게 내리는 비를 동반한답니다. 우리나라에는 주로 7~9월에 태풍이 찾아와요 ... ...
- 아침부터 밤까지 하루 종일 즐거운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타고 제주에서 날아온 소식을 함께 만나 볼까요?밤까지 더 길게~, 더 알뜰하게!2015년 4월 24일,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이 개관한 지 딱 1주년 되는 날이에요.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서는 개관 1주년을 맞아 8월 31일까지 관람료를 할인하고 있어요. 관람권을 구매하면 항공기에 대한 과학을 한눈에 볼 수 ... ...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부는 방향으로 거미줄을 뿜어내고, 그 줄을 타고 날아가며 유사비행을 한답니다. 올해 5월에 호주에서 관찰된 유사비행도 이처럼 어린 거미들이 단체로 서식지를 찾아 떠나는 모습이었어요. 목격자인 이안에 따르면 수백 미터 거리까지 하늘에 거미줄이 쳐져 있었다고 해요.한편 2012년에 와가와가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전파를 수신한 다음, 이 전파를 다시 기지국이 없는 오지로 보내는 역할을 해요. 지난 3월 시험 비행에 성공한 아퀼라는 올해 여름 중 본격적으로 전파를 주고받는 2단계 비행에 들어설 예정이랍니다. *성층권 : 대기권을 이루는 여러 층 중 하나로, 대류권 바로 위인 고도 10km부터 50km까지를 말한다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새로운 식물 플랑크톤으로 만든 바이오디젤을 개발했어요. 그리고 이를 이용해 지난 5월 서울에서 부산까지 자동차를 운행하는 데 성공했어요.이 교수팀이 이용한 식물 플랑크톤은 테트라셀미스(Tetraselmis)로, 우리나라 바다에서 많이 볼 수 있어요. 특별한 양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빠른 속도로 ... ...
이전7177187197207217227237247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