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뉴스
"
대학
"(으)로 총 10,156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속을 뛰어다니는 머리 없는 두꺼비
팝뉴스
l
2018.03.16
만들고 있다고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해외 언론들이 보도했다.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
교 애머스트 캠퍼스의 학생인 질 플레밍은 2월 27일 트위터에 머리 없는 두꺼비 사진을 공개했고 이후 해외 언론과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코네티컷의 숲에서 발견한 이 두꺼비는 숲을 뛰어다니고 ... ...
90도로 고개 꺾어 봐야 이해되는 사진
팝뉴스
l
2018.03.16
만들고 있는 것이다. 아이디어가 참신한 이 사진은 3월 8일 ‘서부 스위스 응용과학
대학
교’의 페이스북에 공개된 것이다. 학생들이 암벽 등반을 하다가 아주 재미있는 사진을 촬영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KAIST, 2031년 세계 10위권
대학
진입 목표”
2018.03.16
역할을 맡겠다는 뜻이 담겼다. △미래전략은 ‘어떻게(How)와 무엇(What)을 함께 추구하는
대학
’으로 새로운 문제를 발견해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현했다. 실현 계획도 상세히 짰다. 우선 창의적인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선발 전형을 대폭 바꾼다. 현재 전체 학생의 16% 비중인 일반고 학생을 2 ... ...
“창의-도전-배려 ‘3C 정신’ 다져… 세계 과학계 선도해 나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그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캘리포니아공대 등 이름만 들으면 알 만한 세계적
대학
과 어깨를 나란히 해야 하니 부담도 커졌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앞으로 KAIST가 존재해야 할 새로운 가치는 무엇일까. 신 총장은 2017년 3월 취임 직후부터 학교의 비전 설립에 대해 고민해 왔다. 취임 직후 ... ...
日 의대 교수 된 수학자…“전염병 조기 예측 기여하고파”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등 수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학문 분야다. 이효정 일본 홋카이도대 의학
대학
원 교수. 수학자인 그는 ‘신종플루’ ‘뎅기열’ ‘지카바이러스(ZIKV)’ ‘구제역’ ‘조류독감(AI)’ 등 다양한 전염병의 전파 경로를 수학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찾는 ... ...
[2018년 필즈상]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라이징 스타! 허준이 박사
수학동아
l
2018.03.15
밀리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 남 따라하는 공부법이 성공 요인? 허 박사를
대학
교 1학년 때부터 지켜본 김 교수에 따르면 문제 푸는 집중력이 좋아 관심이 갔다고 합니다. 수학 실력 또한 여느 학생보다도 뛰어났다고 밝혔지요. 허 박사는 매년 서울에 있는 고등과학원을 찾아 2달 정도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
2018.03.15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호킹 박사는 영국 옥스퍼드대를 졸업하고 1965년 케임브리지대
대학
원에 진학해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1979년부터 2009년까지 케임브리지대 루커스 수학 석좌교수를 지냈다. 물리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기초물리학상’을 비롯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어워드’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가장 잘 알려진 물리학자이긴 하지만 노벨상은 받지 못 한 것이죠. 케임브리지
대학
의 석좌교수인 스티븐 호킹. 그는 아인슈타인 이후 최고의 스타 과학자이다. 대중적 인지도만 높을 뿐, 실제 그의 연구 업적에 비해 명성이 과대포장돼 있다는 비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블랙홀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즉 빅뱅(big band)이 존재함을 증명했다. 1966년 호킹은 이 결과를 담은 박사학위논문을 썼고
대학
에서 에덤스상을 받았다. 1970년 호킹은 블랙홀로 관심을 돌렸는데 당시는 블랙홀에 대한 관찰 증거가 전혀 없던 시절이다. 1975년 호킹은 양자이론과 상대론을 결합해 블랙홀도 전자기파(빛)를 ... ...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
2018.03.14
양립시킨 이 연구는 호킹의 가장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된다. 호킹은 1975년 케임브리지
대학
응용수학및이론 물리학과의 교수가 되었고, 1979년 루카스(Lucas)좌 석좌교수가 되었다. '시간의 역사' '호두껍질 속의 우주',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 '스티븐 호킹' 등의 저서가 있다. 1964년 제인 ... ...
이전
717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