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가운데 구멍이 뚫린 물체에 끼우는 긴 막대를 의미한답니다.기후 변화에 따라서 일
년
을 구분한 것을 ‘계절’이라고 해요. 우리나라는 중위도 지역이라 사계절이 비교적 분명한 편이지요.‘계절 계(季)’는 ‘벼 화(禾)’와 ‘아이 자(子)’로 이루어진 회의문자예요. 회의문자는 서로 다른 한자의 ... ...
우리나라 서해 최북단을 지켜온 점박이물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절반 정도가 감소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1940
년
대 8000여 마리, 1980
년
대 2300마리 그리고 2010
년
에는 600~800마리 정도로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지요.점박이물범은 새끼를 낳을 때가 되면 바다에 떠다니는 얼음 위로 올라와요. 새끼 냄새를 맡고 찾아온 상어나 범고래에게 새끼를 잃을 수 있기 ... ...
[수학뉴스] 시에르핀스키 문제 이제 다섯 걸음 남았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시에르핀스키는 1960
년
이런 시에르핀스키 수가 무한히 많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1962
년
에는 미국 수학자 존 셀프리지와 함께 시에르핀스키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가 78557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이를 ‘시에르핀스키 문제’라고 합니다. 프라임그리드는 지금 이 시간에도 남은 후보 5개 21181과 2 ... ...
[폴리매스 프로젝트] 2017 아무도 몰랐던 문제가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않은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 해결에 한층 가까워졌습니다.수학자와 함께하는 청소
년
폴리매스아무도 풀어보지 않은 문제를 깊이 고민하고 댓글로 아이디어를 주고받는 폴리매스를 우리도 해볼 수 없을까요? 수학자가 아니어도, 수학을 잘하지 못해도 폴리매스에 참여하는 건 분명 매력적인 경험일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닭도 판매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정육각이 만든 SW도 판매하는 게 목표다. 아직 1
년
도 채 안 된 스타트업 정육각이 앞으로 보여줄 모습은 어떠할까. 정육각이 해낸 유통 혁신으로 우리 식탁에 신선한 고기만 올라오는 게 당연한 미래가 오길 기대해 본다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별 탄생의 역사를 연구할 예정이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하고 38만
년
뒤에 최초로 빛이 우주로 뻗어나가면서 남긴 흔적으로 초기우주를 밝히는 열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 ...
[소프트웨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 세운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미리 알려줘 조원끼리 서로 배려하도록 했다.소통으로 발전하는 SW 교육2017
년
부터는 2학
년
학생도 매주 1시간씩 정보 교과수업을 받는다. 정규 교과의 수업 시수가 늘어난것은 반갑지만 여전히 개선할 점이 많다. 학부모와 일부 교사가 가지고 있는 SW 교육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하고 울산처럼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않았다. 그래도 편지에는 항상 다정함이 묻어났다. 하림은 어딘가 꺼림칙했다. 매
년
오는 편지와 달랐다.“왜 그래?”마고가 물었다.“뭔가 이상해…. 뭔가 달라….”“맞춤법이 많이 틀렸군.”“맞아. 그것도 이상해. 엄마는 맞춤법을 절대 안 틀렸는데….”그때 하림의 머릿속에 뭔가 떠올랐다. ... ...
[과학뉴스] 긴장할 때 숨을 빨리 쉬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시험을 앞두고 있거나, 혹은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나도 모르게 호흡이 빨라진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숨쉬는 속도가 두려움을 느끼는 것과 ... 것은 두려움을 덜 느끼기 위한 본능적인 반응”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뉴로사이언스’ 2016
년
12월 6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호박에 갇혀 있던 공룡 깃털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있는 척추 뼈와 곡률, 깃털 모양 등으로 추정한 결과, 이 꼬리 깃털의 주인은 약 9900만
년
전 백악기 중반에 살았던 호박에 갇혀 있던 공룡 깃털 수각류 공룡인 코엘루로사우루스였다.연구팀은 특히 깃대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토대로 현대 조류의 깃털에서 비행에 중요한 ... ...
이전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