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7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 노벨 물리학상] 중력파 검출한 킵 손, 배리시, 바이스에 돌아가 (상보)
동아사이언스
l
2017.10.03
참여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었다. 바이스 교수와 별세한 드리버 교수는
실험
물리학자로 라이고의 기기를 개발하고 성능을 정교하게 다듬는 데 공헌했다. ☞ 참고 기사 : 노벨상 받은 중력파 연구자에서 영화 '인터스텔라' 제작까지... 킵 손 교수는 누구?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의 ... ...
아이에게 모바일 기기를 줘도 되는 이유
2017.10.03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것입니다. 연구진은 4~8세 사이의 43명 어린이 두 그룹을 대상으로
실험
을 실시했습니다. 한 그룹은 아이패드로, 다른 그룹은 강사와 게임을 했는데요. 이 게임은 아이들에게 동물과 관련한 새로운 사실을 교육하는 것이었습니다. 게임이 끝난 후 아이들에게 학습한 사항과 ... ...
[2017 노벨 생리의학상] 생체 시계의 비밀을 밝힌 과학자들
2017.10.02
되면 닫힌다(위). 장-자크 도르투 드 메랑은 미모사를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 계속 두는
실험
을 했다(아래). 그 결과 빛과 상관없이 미모사 잎은 하루 주기에 따라 열렸다 닫힌다는 것을 발견했다. - 노벨상 위원회 제공 ● 시계유전자의 확인 1971년 미국 캘리포티아 공대(Caltec)의 시모어 벤저(Seymour ... ...
[윤신영의 마이너리티 리포트-3] 어느 뇌과학자의 ‘대학원 제도’ 연구소
동아사이언스
l
2017.10.02
더 나은 대학원 제도를 꿈꾸며 ‘작은 균열’을 만드는 데 동참하면 좋겠어요.”
실험
용 쥐를 상자에 둔다. 이 상자에는 때때로 강한 전기 충격이 온다. 쥐는 괴롭다. 괴로움은 공포로 이어진다. 바로 옆에 전기가 흐르지 않는 상자가 있지만, 처음에는 쥐가 이 사실을 알 리 없다. 하지만 쥐는 곧 ... ...
귀성길 귀경길 교통 체증 때 졸린 이유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2
지난달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빛으로 신경 세포를 조절할 수 있는
실험
용 쥐를 만들었다. 특별히 동기부여나 즐거움에 관여하는 뇌 부위(측위신경핵)의 신경세포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다. 즐거운 활동을 할 때면 이 곳의 신경 세포가 활발하게 반응한다. 연구 결과 신경 세포가 반응을 ... ...
시판 일회용 생리대 10종 재료 분석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
과학동아
l
2017.10.02
결합이 느슨해지려면 온도가 섭씨 100도는 돼야 한다”며 “체온과 비슷한 조건에서
실험
을 진행했다면 생리대 고분자 섬유 속 단위 분자가 방출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다른 가능성은 접착제와 향료다. 외품기준에는 ‘사용하지 않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의복에 ... ...
긴 추석 연휴, 살찌기 더 쉽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1
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건강에 좋은 간식과 건강에 좋지 않은 간식을 함께 놓았다.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지루한 영상이 나올 땐 건강에 해로운 음식을 골라 먹었고, 재밌는 영상에선 건강에 유익한 음식을 선택했다. 만 교수는 “지루한 상황에선 자극성 뇌 화학물질인 도파민 분비가 ... ...
미래 ‘스텔스 기술’ 전파는 물론 소리-빛까지 속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2005년 미국 듀크대 연구진은 구리로 만든 작은 원통을 직접 개발한 메타물질로 덮고
실험
용 레이더를 가져다 대봤지만 전파에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메타물질을 적용하기 가장 유리한 것은 음파제어 분야다. 파장을 흡수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려면 물질의 구조가 파장의 절반 정도로 ... ...
상처나 찢어진 피부, 빛으로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8
염료제를 자극해 피부가 회복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라며 “동물
실험
을 통해 피부가 접합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상향변환 나노입자 복합물질을 이용한 치유 개념도 - 포항공과대학교 제공 일반적으로 외과수술 후에는 실이나 스테이플링을 이용해 상처부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아기들은 버튼을 누르는 횟수가 절반수준이었고 둘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무척 간단한
실험
이지만 결과가 함축하는 바는 심오하다. 즉 돌이 갓 지난 아기도 어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그 결과 성공하는 모습을 보면서 끈기가 성공의 중요한 요소임을 간파할 수 있다. 게다가 ... ...
이전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