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병변도 막지 못한 청년 과학자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시험에 집중할 수가 없었어요.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 문제를 읽어주는
데
이 소리 때문에 집중이 잘 안됐어요.”대학에 입학하자 그는 육체의 한계에 도전하기 위해 2004년 8월 국토대장정에 참가했다. 친구와 함께 20박 21일 동안 부산에서 출발해 충남 대천을 거쳐 경기 과천까지 걷는 ... ...
새가 도구를 만들고 교육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람들은 흔히 머리가 나쁜 사람을‘ 새머리’나‘ 새대가리’라고 불러요. 그런
데
당신을 보니 그 말이 옳지않다는 생각이 드네요.이런! 제가 가장 듣기 싫은 말을 하다니! 제가 이렇게 빌딩 위에서 항의를 하고 있던 것도 바로 그 말 때문 이었어요. 저는 태평양에 사는 ‘뉴칼레도니아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만들어 짝짓기에 이용했을 수도 있다”며 “반대로 밉 단백질이 성행동과 관련이 있는
데
우리가 아직 모를 수 있다”고 말했다. 밉 단백질에 대한 연구는 ‘미국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비엔나에 있는 연구소가 훌륭하다고 해서 연구원으로 가봤더니 사람들이 우리보다 더 똑똑한 건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높이 때문에 ‘녹색 괴물(그린 몬스터)’이라는 별명도 붙었다. 광주 무등구장도 가운
데
담장 높이가 6.9m다.야구장 방향의 비밀본루에서 투수판을 지나 2루로 향하는 직선은 동북동(북쪽을 기준으로 67.5°)을 향한다. 이 방향으로 경기장을 지으면 우리나라와 같이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 오후 늦게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더욱이 법이나 윤리의 테두리 안에서 타인을 이용하고 자기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능숙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높은 지위를 획득할 가능성이 높다.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상은 의외로 소시오패스적 특성과 비슷할 때가 있다.기업 망치는 소시오패스그렇지만 소시오패스들은 언젠가는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재신 교수는 “기술 개발자가 아닌 IT산업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리더를 기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창의적인 인재들이 사회에 나와 자신의 능력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 교육계가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뻗어 밸런스를 유지한 후 스윙을 시작한다.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은 부상을 방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삼성트레이닝센터 안병철 센터장은 “밸런스가 좋지 못하면 부상 위험이 크다”며 “특히 투수들의 어깨뼈 관절의 부상 우려가 높다”고 말한다. 팔은 어깨뼈에 걸쳐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pri-miRNA라고 부른다)를 인식해 염기 60여 개 길이의 조각(전(前) 마이크로RNA)으로 만드는
데
관여하는 효소인 드로샤(Drosha)를 발견했다. 2004년에는 보통 유전자들의 전사를 맡고 있는 RNA중합효소Ⅱ가 마이크로RNA 유전자의 전사 역시 맡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전까지 과학자들은 운반RNA(tRNA)의 유전자 ... ...
총상 위치 알리고 유아 돌연사 막는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슈우웅- 딱!"주인공 아이언맨의 가슴 정중앙을 향한 총알이 옷에 부딪쳐 그대로 땅으로 떨어진다. 골드티타늄 합금으로 만든 옷 덕분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 스마트 의류는 단순히 몸을 가리던 의류의 기본적인 역할을 넘어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까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바뀐 막 전위는 의 ③과 같이 막 밖으로 방출되는 K+에 의해 다시 역전되는
데
이를 재분극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뉴런의 한 부분이 자극을 받아 활동 전위가 발생하면 의 ④와 같이 이웃한 부분으로 전류가 흐르고, 이것이 원인이 돼 축색의 말단까지 차례로 탈분극이 일어나게 된다.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