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교생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한다는 지적도 여전히 유효하다.사사연구에 대한 전문가들의 생각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처음
실시한 사업인 만큼 몇가지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한다면 영재교육의 내실화는 물론 과학 대중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리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제2차 창의적 사사연구과제는 3월 중 시작될 예정이다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아내는 제 수학 인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줬어요.물리학을 전공했던 점을 십분활용해
처음
에는 세부전공으로 수리물리를 했었어요. 그런데 유학 가서 1년쯤 지나자 이 분야에 흥미를 잃게 됐어요.그러던 와중에 아내가 조교를 담당하던 수업 때문에 들을 수 없었던 조합론 수업을 저한테 대신 들어가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우수해 무전기 라디오 등 통신기기의 고주파절연재로 널리 쓰였다 1937년 미국에서
처음
상업생산됐는데 공중합물을 합치면 현재 PE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다 투명성 고주파절연성 단열성이 우수하며 착색이 쉽고 가볍다 반면 충격에 약하고 내열성이 좋지않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용(GPPS) 고충격용 ... ...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않다.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폰은 어느 곳에서나 원격회의를 가능하게 한다. 사무실에서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명함을 주고받는 대신 자신의 디지털 명함에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한다. 일과가 끝나고 나서 명함을 검색하여 오늘 누구를 만나 무슨 일을 했는지 그리고 앞으로 해야 할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1783년 발명됐다. 가스기구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채워 내부 공기를 가볍게 한다.
처음
쓰인 가스는 가장 가벼운 기체인 수소였다. 하지만 수소는 공기중 산소와 결합해 폭발하는 위험이 있어 1920년대 이후에는 쓰이지 않고 있다. 현재는 헬륨가스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가스기구는 성층권과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나가도록 한다. 퀸 메리 2호의 추진기관은 총 4개의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처음
으로 사용하고 있다. 2개는 고정돼 있고 2개는 3백60°로 회전이 가능하다. 추진기관을 이처럼 만든 이유는 더 강력한 추진력을 주면서 동시에 더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퀸 메리 2호는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갖고 있음을 증명한 것이다.바이러스 유전자를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은 벤터 박사가
처음
은 아니다. 2002년 7월 미국 뉴욕 주립대의 에커드 위머 박사는 염기 하나하나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DNA 조각들을 만든 다음 이를 다시 이어붙이는 방법으로 소아마비 바이러스 유전자를 합성했다고 ... ...
트레비식, 철도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신문 머릿기사로 영국 전역에 알려졌다. 아버지가 감독으로 일하던 콘웰 광산에서
처음
뉴커먼 증기기관을 보고 흠뻑 빠져 밤낮없이 증기기관 제작에만 매달려온 트레비식. 꼭 2백년전 이달의 시연으로 그는 세계 최초의 증기 기관차 발명가로 역사에 기록됐다.9㎞ 주파에 1시간 걸려 트레비식이 ... ...
번지수로 나이 알아내기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네, 알겠습니다.”세딸의 나이는 각각 몇살일까?A이 퍼즐은 꽤 널리 알려져 있지만,
처음
듣는 사람에게는 무척 당황되는 문제다. 번지를 아는 조사원도 모르겠다고 한 나이를 어떻게 우리가 알아낼 수 있단 말인가. 게다가 난데없이 큰애가 피아노를 배운다는 말은 왜 하는 것인지.일단 이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하나 있다. 이 성운은 NGC2438로 이름이 붙여져 있는데 천왕성 발견자인 윌리엄 허셜이
처음
발견했다. 사실 이 성운은 성단에 포함된 것이 아니고 단지 성단의 앞쪽에 위치해 있어서 마치 함께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실제 성운까지의 거리가 3천3백광년 가량인 반면 성단까지의 거리는 5천4백 ... ...
이전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