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연구실에서 개발하고 있는 생체 영상 기술이야말로 사람을 살리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병
을 빨리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신 교수는 “공학의 매력이 바로 이런 것”이라면서 “공학자는 사람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해 사회를 더 낫게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특명! 오感감을 속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천연물질을 발견했어요. 이것은 절대 소금이 아니에요! 짠맛을 내지만 고혈압 같은 성인
병
을 일으키지 않아요. 소금이 짠 이유는 입안에 들어가 녹은 소금 성분(나트륨)이 혀에 있는 짠맛 수용체에 붙어 짠맛 신호를 보내기 때문이에요. 짠맛 신호가 신경계를 타고 뇌에 전해지면 짜다고 느끼게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
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일부 지방은 간에 머물러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인슐린저항성이 생겨 당뇨
병
으로 이어진다. 과당은 단백질에 달라붙으며 활성산소를 내보내 염증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는 에탄올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하는 일과 비슷하다. 또 요산을 만들어 고혈압으로 이어진다. 요산은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어야만 발
병
하는 것이다. 하지만 남자는 X염색체가 하나다. 어머니에게서 혈우
병
유전자가 있는 X염색체를 물려받으면 빼도 박도 못한다. 색맹도 마찬가지다. 색맹을 일으키는 유전자도 X염색체에 있어서 색맹은 남자에게 훨씬 더 많이 일어난다.쌍으로 다니는 다른 염색체와 달리 남자답게(?)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
병
든 애벌레를 버리려는 거예요.”생각해 보면 놀라운 행동이었다. 벌집 전체에
병
이 퍼지는 일을 막기 위해, 다시 말해 집단의 생존을 위해 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엉덩이춤’ 부터 집짓기까지 감동적이기까지 했던 이 장면을 보면서 벌의 협업 방식에 관심이 갔다. 이런 ‘비상상황’에서도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병
속에서 언제까지 살 수 있는지를 실험하고 마지막으로 양초, 쥐 그리고 식물을 함께
병
에 넣고 얼마나 살 수 있는지 관찰한다.1778년 오스트리아의 의사였던 잉겐하우스(Jan Ingenhousz)가 프리스틀리의 실험을 다시 재현해 식물에 햇빛을 비춰주면 쥐가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1796년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면적을 최대로 넓히기 위해 ‘크리스테’라는 주름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알츠하이머
병
에 걸리면 이 부분에 파괴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한 것이다.“과학자와 기술자 협력으로 바이오 이미징 기술 나날이 발전”생명 현상을 연구할 때면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이 늘 함께 쓰인다. ... ...
이야기 풍기는 봄꽃, 매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거야.그런데 임금님 똥은 바로 버리지 않았단다. 임금님이 변을 보고 나면 왕실 전용
병
원인 전의감에 보냈어. 그러면 임금님의 건강을 책임지는 의사가 임금님의 똥 농도와 색깔을 살펴봤지. 똥으로 임금님의 건강 상태를 알아 본 거야. 친구들도 앞으로는 자기가 눈 매화를 자세히 살펴보는 게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가능하다. 잠수
병
만 조심하면 된다. 잠수
병
은 외부 압력이 갑자기 줄어들면서 생기는
병
으로 체내 질소가 혈관이나 신경, 조직에서 기포로 변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고압실에 들어가 작업했던 곳의 고압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대기압까지 줄여주는 것이 치료법이다. 쉽게 말해 신체가 압력에 ... ...
프리온(prion)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프리온이라는 단백질에 대해서 아십니까?프루시너 교수는 뇌 질환에 대해 연구를 하다가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것을 프리온 이라고 명명했습니다. ... 프리온에 감염된 세포를 치료하려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크로이츠펠트-야코프
병
에 걸린 뇌조직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