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리사x이클과 함께 지구를 구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나서서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리사x이클과 함께 지구를 구하라!Part1. 쓰레기, 대체 얼마나 많은 거야?Part2. 뒤죽박죽 쓰레기, 다시 살리는 법! Part3. 쉽게 분류하기 ! 화살표+숫자 보면 안다?Part4. 재활용 넘어 새활용으로 ... ...
- 쓰레기, 대체 얼마나 많은 거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컵 33억 1500만 개를 눕혀서 늘어놓으면 그 길이는 11.55cm×3,315,000,000=38,288,250,000cm가 돼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 약 38만 3000km(=38,300,000,000cm)와 비슷하지요. 비닐 1개씩 덜 쓰면?우리나라 국민 1명이 1년 동안 사용하는 비닐봉지는 약 460개예 요. 한 사람이 하루에 한 ...
- 쥬라기 월드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힙실로포돈 등 작은 초식공룡을 쉽게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했다. 공룡은 한때 지구를 정복했던 적응력이 뛰어난 생물이다.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 이안 말콤 박사가 말했듯, 생명은 방법을 찾아내는 법이다.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함께 작성해 준 친구들도 있었고요. 학교 생활로 바쁘게 일상을 보내겠지만 우리 모두 지구를 구하는 작은 실천은 잊지 않도록 해요!^^ 플라스틱 일기 김수연 기자과자 박스로 만든 보드게임다 먹은 과자 박스 3개를 붙여서 나만의 보드게임을 만들었어요. 친구들과 재밌게 게임을 할 거예요 ... ...
- [특집] 버블 465일 동안 생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건 중력과 증발 때문이에요. 비눗방울이 만들어짐과 동시에 중력은 비누막의 물을 지구 중심을 향해 잡아 당겨요. 그러면 비눗방울의 위쪽 막이 얇아지죠. 여기에 물이 증발하면 그렇잖아도 얇아진 비누막이 더욱 약해져요. 그러다 공기 중에 먼지가 비눗방울에 접촉하는 등 여러 과정이 복잡하게 ... ...
- [시사과학] 역대 최대, 최장 기록 남긴 동해안 산불 213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역할을 했다”라고 전했다. 기후위기로 커지는 위험광주과학기술원 윤진호 교수는 “지구 평균 기온이 0.5℃ 오르면 대형 산불 위험이 두 배 이상 잦아질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유엔환경계획(UNEP)은 2월 23일 기후위기로 전 세계에 강한 산불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라 발표했다. 이는 지금 ... ...
- 재활용 넘어 새활용으로!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말하자, 이클이 맞장구를 쳤어요.“그래! 우리 다 함께 힘을 모아서 쓰레기로 고통받는 지구를 구하는 거야!” 캔을 ‘쏙’ 넣으면 포인트가 ‘쑥’길에서 오른쪽 사진처럼 생긴 자판기를 본 적 있나요? 재활용되는 쓰레기를 넣으면 자동으로 분류하는 인공지능(AI) 로봇 ‘네프론’이에요. ... ...
- [놀이북] 지구를 지켜라! 분류부터 새활용까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리사와 이클은 바다로 다시 돌아갔어요.리사와 이클이 떠난 자리에는 육지의 어린이들에게 남긴 편지 한 통이 놓여 있었죠. 쓰레기를 줄이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조선시대에는 과거시험에서 떨어진 사람의 답안지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해서 병풍의 그림을 지지하는 데 사용했어요. 최근 LG전자 ... ...
- [과학뉴스] 제임스웹 첫 관측 타깃은 ‘슈퍼지구’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통해 “제임스웹의 고정밀 분광기를 써서 슈퍼지구 행성 두 개를 관찰함으로써 지구형 행성의 진화를 밝혀내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용암 바다가 끓는 ‘55 Cancri e’55 Cancri e는 중심별인 ʻ55 Cancri A’와 거리가 241km 정도로 서울-대구 직선거리만큼 가깝다. 한 바퀴 공전하는 데도 최대 18시간밖에 ...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시작된다. 따라서 각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먼저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도 지구사랑탐사대와 같은 시민과학자들이 더 늘어나면 좋겠다”고도 했다. 그는 “연구가 심화하려면 교차 검증과 토론이 있어야 하는데 박쥐 생태연구팀이 적어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시민 과학은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