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병
병환
병고
우환
d라이브러리
"
질환
"(으)로 총 1,89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울증, 거식증도 미국이 팔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소년에게 미국식 정신과 치료를 강요했다.저자는 이런 현상을 소개하며 “서로 다른 정신
질환
의 개념과 다양한 치료법이 사라지는 것을 생물다양성이 사라지는 현상을 대할 때처럼 심각하게 걱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고유의 방법은 동식물의 멸종처럼 한번 사라지면 다시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기간이 있어야 유방암의 발생가능성이 줄어든다고 설명하고 있다”고 말했다.단 갑상샘
질환
은 에스트로겐 의존성 종양이라 보기는 힘들다. 여성호르몬을 받아들이는 수용체가 생식기 뿐 아니라 갑상샘에도 있기 때문에 영향이 있을 거라는 주장도 일부 있지만 확실히 규명되지는 않았다. 다만 목 ... ...
생명의 밥상 vs 재앙의 밥상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다.오래 전 이곳에 살았던 원주민들에게 없었던 당뇨와 암, 심장병이 왜 지금은 흔한
질환
이 돼버렸을까. 피마 인디언의 사례는 동일한 유전자를 타고나도 음식이 바뀌면 건강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를 생생하게 뒷받침한다. 문제는 성인보다 어린이들에게서 더 빨리, 더 많이 나타난다는 ... ...
“가려움증 일으키는 신경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것으로 알고 있으나, 신경세포에 의해 감지되고 전달되는 ‘감각’의 일종으로 피부
질환
과 전혀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다”며 “특이한 감각신경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함에 따라 앞으로 감각신경세포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하지만 그런 건축물로 인해 사람은 게을러지고 뚱뚱해졌으며, 골다공증이나 당뇨, 심혈관
질환
에 시달리게 됐습니다.” 일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됐지만, 사람의 건강은 나빠진 셈이다. 또 이메일이나 메신저, 문자메시지 등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점점 더 움직이지 않고 있다. 스티멀스 교수는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쓰레기를 치워주는 일을 한다고 천대받은 세월이 100년이다. 이제 신경교세포가 뇌
질환
치료의 새 장을 열고 있다. 앞으로 신경교세포가 보여줄 신세계를 마음껏 상상해보자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달라붙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사람의 입장에서는 다행인 셈이다.미국농업연구청 동물
질환
센터 조나단 아르츠 박사팀은 구제역 바이러스가 소의 비인두(코 뒷부분과 목을 연결하는 부분)의 상피세포에 가장 먼저 침투한다는 사실을 밝혀 ‘수의병리학지’ 2010년 11월호에 발표했다. 인테그린은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PPC가 왜 문제가 된 걸까. 검증 없이 살 빼는 주사로 둔갑PPC는 1959년 독일에서 간
질환
치료제로 허가받았다. 간 경변 말기 혼수상태에 빠진 환자에게 PPC를 투여하면 혈액 내 지방을 없애 혈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988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국제 메조테라피 학회에서는 PPC가 피하지방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체공학적 치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먼저 개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치아
질환
치료에 이용했을 때의 효과를 분석했다. 이를 뽑아야 할 정도로 풍치가 심하게 진행된 개의 줄기세포를 추출해 이식한 결과 치조골(치아가 박혀 있는 뼈)이 최대 80%까지 재생됐다. 치아가 제 기능을 하는 데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나와 산소원자 하나가 결합된 일산화질소는 불안정한 라디칼로 산성비나 호흡기
질환
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다. 일산화질소가 EDRF와 비슷한 작용을 한다는 정황 증거가 여러 차례 포착 됐음에도 과학자들이 좀처럼 ‘EDRF=NO’라는 가설을 떠올리지 못한 이유다.EDRF의 실체를 밝히는 데 애를 먹은 또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