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균"(으)로 총 3,8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서 와~ 우주는 처음이지?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토성까지의 거리를 100이라고 가정하면 태양으로부터 각 행성이 떨어져 있는 거리는 평균적으로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그런데 이 수들이 왜 등비수열이냐고요? 이제 각 수에서 4를 빼 보겠습니다. 그러면 순서대로 수성은 0, 금성은 3, 지구는 6, 화성은 12, 목성은 48, 토성은 96, 천왕성은 188, 해왕성은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틀림없다. 그래서 빛을 통해 얻은 소행성의 크기 정보로 부피를 계산한다. 또 부피에 평균밀도를 곱해 질량을 얻는다. 질량을 알면 뉴턴의 운동법칙에 따라 탐사선이 소행성에 접근할 때 받게 될 중력을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소행성 궤도에 진입하고 또 지구에 귀환하기 위해 소행성 궤도를 ... ...
- 플레이볼. 공인구 변화가 나비효과 만들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시작했다. 2018년에는 홈런을 40개 넘게 친 선수가 쏟아져 나왔다. 이런 현상으로 투수들의 평균자책점은 한 없이 높아지며, 선수들 체력 소모를 크게 해 경기력은 하락했다. 관중 입장에서도 한두 번은 점수가 많이 나면 재밌을지라도 지속되면 쫄깃한 야구 경기의 재미가 줄어든다. 최근 몇 년 동안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정확히 알기 어려웠어요. 그렇다고 모든 데이터를 확인할 수도 없었죠. 어떻게 하면 평균의 왜곡을 피하면서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평면에 데이터를 찍어 분포도를 만든 뒤 패턴을 찾으면 되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그렇게 하니 한눈에 그래프를 분석해 숨겨진 문제를 ...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잉크우드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줄기세포 치료제의 시장 규모는 2017년 이후 연평균 25.8%씩 성장해 2025년에는 약 442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는 북미가 세계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지만 중국이나 일본 등 아시아 시장도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다.지금까지 개발된 줄기세포 치료제는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제외한 나머지 원소가 약 2%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개수로 환산하면 수소 원자 12개 당 평균 1개의 헬륨 원자가 존재합니다. 가장 가벼운 원소인 수소, 그리고 그 다음으로 가벼운 헬륨, 그 외 무거운 원소 순으로 개수가 급격히 감소합니다. 1940년대까지는 왜 우주에 존재하는 원소들이 이런 분포를 ... ...
- 전지훈련. 선수 맞춤식 데이터로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훈련에 주목하라!그러나 내야 땅볼로 안타를 잘 만들어내는 발이 빠른 선수라면 오히려 평균보다 각도를 낮춰야 한다. 데이터 분석 결과 5~10°로 낮게 쳐야 땅볼을 잘 만들어냈다. 그러니 장타를 주력으로 치는 선수가 아니라면 무조건 올려칠 필요는 없다 ... ...
- Part 1. 평창올림픽 그 후, 가리왕산 복원 논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ha=1만m2)가 해제됐어요. 활강경기장의 조건은 표고차(출발지점과 결승지점 고도차) 800m, 평균 경사도 17°, 슬로프 연장 길이 3km 이상이에요. 강원도 내에서 이 조건을 갖춘 곳은 가리왕산뿐이었지요. 전북 무주에 이 조건을 만족하는 리조트 경기장이 있지만, 당시 정부는 강원도에서만 모든 경기를 ... ...
- [과학뉴스] 모기, 10m 떨어진 목소리도 듣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청각신경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을 기록했다. 그 결과 이집트숲모기는 150~500Hz의 주파수, 평균 31데시벨(dB) 크기의 소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사람은 일반적으로 200~1000Hz, 45~70dB의 소리를 낸다.호이 교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모기가 들을 수 있다는 뜻”이라며 “모기가 소리를 감지하는 데 ... ...
- [알고리듬 시그널]가장 많이 쓰이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 κ-평균 클러스터링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최적의 팀을 꾸릴 수도 있죠. 오늘은 클러스터링 알고리듬 중 가장 많이 쓰이는 ‘k-평균 클러스터링’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원리가 간단해서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언어를 다룰 줄 몰라도 쉽게 익힐 수 있거든요. 나누려는 집합의 개수 즉, 클러스터 수를 정하고 두 점 사이의 거리만 구할 수 있으면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