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2화. 소중한 수학 가족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함께하기 마련입니다. 연구는 결코 혼자 하는 게 아니니까요. 때로는 같은 연구를 하지 않더라도 수학 얘기를 나눌 수 있는 즐거운 말동무도 생깁니다. 수학의 길을 함께 가는 이들은 너무나 소중한 인연입니다. 독자분들도 같이 수학 얘기를 나눌 수 있는 친구들을 찾는 게 얼마나 즐겁고 감사한 ...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인구도 늘어났어요. 이런 배경으로 2020년 4월 6일에는 학교 급식에서 채식 선택권을 보장하지 않는 것은 헌법상 기본권인 건강권과 자기결정권 침해라며 초중고에 재학 중인 학생과 학부모, 교사가 헌법소원을 내기도 했죠. 알레르기, 아토피 등 건강상의 이유나 종교적인 이유로 채식을 하던 과거에 ... ...
-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예방하기 위해 데이터를 주고받은 사실과 이용자의 기록을 숨기지 못하도록 관리해야 하지요.힌편, 김승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지금까지 은행 직원이 얼굴을 직접 확인하고 발급하는 ‘대면’ 인증서만 써왔는데, 앞으로는 인터넷 전문은행에서 비대면으로 발급한 인증서도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 진로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0년 11호
- 그러니 수학 때문에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수학 공부를 포기하지 않고 노력해야 합니다. 진로 문제와 수학 문제의 공통점수학이 진로에 필요한 또다른 이유는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진로는 직업이라는 의미로 통용되지만 한자의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과학기술이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상상하고 이야기하는 장르입니다. 하지만 그 이야기가 상상으로 끝나지만은 않습니다. SF 속 과학기술은 현실에 등장했고, 그로 인해 우리 사회는 바뀌었습니다. 더군다나 상상이 실현되는 속도는 현실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잘 털어놓는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 상담사라면 하지 않았을 법한 말을 해 환자들이 혼란을 겪기도 한다는데요. 이런 상담 인공지능을 허용하는 게 과연 옳을까요.정신과 상담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많은 현재 상황상, 상담 인공지능의 역할은 앞으로도 중요할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나만의 정원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봄에는 꽃구경을 제대로 하지 못해 아쉬운 친구들이 많을 거예요. 이런 친구들을 위해 섭섭박사님이 집에서 직접 꽃놀이를 할 수 있는 메이커를 준비했어요! 퍼즐도 맞추고, 꽃도 피울 수 있는 나만의 정원을 만들어 봐요. 꽃마다 피는 시기가 다른 이유는? 꽃은 저마다 피는 계절이 달라요. 그 ... ...
- [질문하면 대답해 ZOOM] 우주에서는 음식이 썩지 않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다른 모양과 색을 갖는데, 멜라닌세포 모반, 청색모반, 혈관종 등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지요. 그중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점은 검은색을 띠는 ‘멜라닌세포 모반’이에요. 생기는 시기에 따라 선천성 모반과 후천성 모반으로 나뉩니다. 태어난 후 생긴 후천성 모반은 태어날 때부터 있는 선천성 ... ...
- a-school 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예술 작품을 만들기 위해 등 다양한 목적으로 코딩을 쓰고 있거든요. 본인이 직접 코딩을 하지 않아도 프로그래밍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이해가 있으면 어떤 분야에서든 일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코딩을 꼭 배워야 하는 거라면 이왕이면 실용성이 있고 재밌으면 좋겠죠? 코딩으로 과학 ...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실렸다. doi: 10.1038/nature08852반면 포유류인 인간 배아는 초기에는 성적인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가 ‘SRY(Sex determining Region Y of the chromosome)’ 같은 특별한 유전자가 발현되거나 호르몬 등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세포의 성별이 명확해진다.김 교수는 “만약 인간 배아에서 염색체 비분리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