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자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원자에너지
"(으)로 총 1,14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로 수소 만드는 촉매 효율 높일 새 방법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최상일 경북대 화학과 교수와 최창혁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임형규 강원대 화학생물공학부 공동연구팀은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는 과정에서 특정 촉매의 효율을 높이는 이론적 원리를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할 때 쓰이는 촉매의 특 ... ...
원유 정제 부산물 황 폐기물로 고부가가치 그래핀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유남호 선임연구원과 남기호·김경민 연구원(왼쪽부터) 국내 연구팀이 환경 문제를 낳고 있는 황을 이용해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석유 정제과정에서 대량 발생하는 황 폐기물을 줄이면서 이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제 ... ...
양성자 크기를 둘러싼 10여년 물리학 논쟁 종지부 찍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9
미국 토머스제퍼슨국립가속기가 양성자의 크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미국 에너지부 제퍼슨랩 제공. 양성자의 크기를 알아내기 위한 가장 최근 실험에서 양성자의 반경이 0.831펨토미터(1펨토미터는 1000조분의 1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결과는 양성자의 크기를 알아내기 위한 두 ... ...
첨가물 바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내구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석상일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UNIST 제공.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되는 첨가물을 바꿔 단점을 잡을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석상일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조성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 물질로 광흡수층 소 ... ...
스트레스가 다재다능한 그래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연구팀이 그래핀을 형성할 때 구리 기판 표면의 결정구조에 따라 반응성을 분석한 결과. 라만분광법을 이용해 구리 001과 110, 111 등 결정구조에 따라 실험했다. 그 결과 구리 111 표면에서 가장 빠르고 균일하게 반응이 일어났다(맨 윗줄). UNIST 제공 탄소가 육각형 벌집 구조로 이어진 얇은 탄소막 '그 ... ...
아태이론물리센터 아태 젊은 물리학자상 수상자 3人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가 올해 아시아태평양 젊은 물리학자상 수상자로 이고르 아로노비치(왼쪽) 호주 시드니공과대 교수와 류슝준(가운데) 중국 북경대 교수, 허송(오른쪽) 중국과학원(CAS) 교수를 선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올해 아시아태평양 젊은 물리학자상 수상자 3명이 선정됐 ... ...
그래핀 전기적 성질 높일 '질소도핑' 기발한 방법으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쇠구슬을 이용해 그래핀을 쉽게 도핑할 방법을 개발한 백종범 UNIST 교수(왼쪽)과 한가오펑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했다. UNIST 제공 전기가 잘 통하고 쉽게 휘어져 차세대 전자소자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그래핀의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질소를 불순물로 섞는 공정(질소 도핑)이 널리 ... ...
美, AI·슈퍼컴에 10년간 약 4조원 투자…전세계 투자 경쟁 과열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미국 에너지부는 EF급 슈퍼컴퓨터 '오로라'를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에 2021년까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르곤 국립연구소 제공 세계 각국이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AI를 활용한 과학적 발견에 속도를 내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구체화된 ‘AI 이니셔 ... ...
ESS 성능 끌어올릴 새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로드니 루오프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장(왼쪽)과 이장 연구위원. IBS제공 국내 연구진이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로드니 루오프 단장(울산과학기술원 특훈교수)과 이장 연구위 ... ...
빛-물질 성질 가진 입자, 상온서 조절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왼쪽)와 송현규 연구원. KAIST 제공 빛과 물질의 성질을 동시에 지니는 입자를 상온에서 만들고 제어할 방법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이런 입자는 지금까지 영하 273도의 극저온에서만 만들 수 있었다. 빛을 이용한 미래 소자 개발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조용훈 KAIST 물리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