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인류가 400년 만에 초신성 폭발을 관측했을 당시 김제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는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었다.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주인공들과 같은 중성미자(뉴트리노)를 연구하는 입자물리학자인 그는 SN1987A 초신성에서 방출된 중성미자 연구를 준비하기 위해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학이론, 특히 일반상대성이론처럼 대단히 정교하고 놀랄 만큼 혁신적인 물리학 이론은 사회와 역사, 그리고 일상 문화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과학이란 것은 도대체 무엇이며,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 걸까. 이 ‘가장 아름답고 완벽한 이론’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1915년 11월 25일 아인슈타인은 프 ... ...
- 구강청정제로 신생아 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영국 제약업체가 구강청정제에 들어가는 항균물질로 신생아의 세균 감염을 줄일 수 있는 신약을 만들었다.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구강청정제 ‘코르소딜’의 재료인 클로로헥시딘을 신생아의 탯줄에 바르는 젤 형태의 신약으로 개발해 유럽의약국(EMA)에 허가를 신청했다고 10월 11일 ... ...
- 유전자가위로 만든 돼지, 반려동물로 판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유전자를 편집한 돼지가 반려동물 시장에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중국 베이징 유전학 연구소(BGI)는 유전자 가위 ‘탈렌’을 이용해 무게를 일반 돼지의 6분의 1로(15kg) 줄인 연구용 미니 돼지를 우리 돈 180만 원 정도에 판매한다고 밝혔다. 돼지는 사람과 식습관이 비슷하고, 장기의 구조나 생리 특 ... ...
- 암흑물질 발견, 이번에는 진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은하의 중심에서 암흑물질의 신호가 확인됐다.암흑물질은 우주의 25%를 구성하는 물질로 그 존재가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네덜란드 레이든대 알렉시 보야르스키 교수팀은 10월 2일 ‘피지컬 리뷰 레터’에 은하수 중심에서 암흑물질 후보 중 하나인 ‘비활성중성미자’가 붕괴될 때 발생하는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만약 당신이 2015년 11월 현재 화성에 고립된 우주과학자라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지금 인터넷에 공개돼 있는(오픈소스) 과학 및 공학 지식만 이용해도 화성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생물학자들과 서호주 탐사를 했던 탐험가로부터 묘안을 들어보자.나는 화성필드탐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30년 만에 몸무게가 20% 이상 줄고 1년 일찍 산란하도록 진화한 물고기가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불과 10년 만에 몸무게가 100kg 이상 늘어난 육상 포유 동물은 어떤가.실없는 소리 같지만,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인간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동식물이 급격히 변하고 있다. 인간은 오늘날 ‘슈퍼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명절을 맞아 오랜만에 친척을 만났다. 요즘 어떻게 지내냐기에 쉽지 않다고 하니, 넌 의지력이 부족한 게 문제라고 한다. 그러면서 좀 더 부지런하게 살라고 잔소리를 늘어놓고 사라지는 뒷모습을 보는데, 문득 화가 난다.SNS에서는 이런 사람들을 오지랖에 ‘~하는 사람’이라는 영어 접미사 er을 붙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박쥐 몸 안에는 수많은 바이러스가 산다. 현재까지 발견된 것만 200종이 넘는다. 그 중에는 에볼라, 메르스, 사스, 한타, 광견병 바이러스 등 인간이 걸리면 죽을 수 있는 치명적인 바이러스도 있다. 하지만 박쥐는 이런 바이러스에 감염되고도 멀쩡히 살아 있다. 낙타와 사람은 메르스 사망률이 천지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의심 가는 먹거리를 진행자가 직접 먹어보는 콘셉트의 TV 프로그램이 인기였던 시절이 있었다. “제가 한번 먹어보겠습니다”라는 진행자의 말을 과학자 버전으로 바꾸면 “제가 한번 실험체가 돼보겠습니다” 정도일까? 올해 이그노벨상 수상자 중에는 유난히 스스로 실험체가 된 사례가 많았다. ... ...
이전7277287297307317327337347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