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빛을 치약으로 쓰는 칫솔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음이온이 나와 치약 없이도 입 속 플라크와 세균을 없앤다고 해요. 게다가 태양전지를 이용해 음이온을 만들기 때문에 전기도 필요 없답니다.태양빛으로 어떻게 음이온은 만들까요? 칫솔 밑 부분에 달린 태양전지 패널에 빛이 닿으면 전자가 만들어져요. 이 전자는 칫솔모에 연결된 이산화티타늄 ... ...
- 바다 색깔로 태풍을 예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산하의 구물리 유체역학 연구소의 아난드 그나나 데시캔 연구팀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바다의 색깔이 녹색을 잃으면 태풍의 발생 빈도가 70%나 줄어 든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바다가 녹색을 잃으면 태풍이 잘 생기지 않는다고요?바다가 녹색을 띠는 데는 클로로필이 한몫을 ... ...
-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전통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강아지였군. 칠교놀이는 크기가 다른 직각삼각형 5개와 정사각형, 평행사변형 조각을 이용해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놀이란다. 가장 큰 조각인 직각이등변삼각형부터 먼저 두고 시작하면 모양을 만들기 쉽지.오호~, 욕심쟁이라 그런지 다양하게 잘 만드는걸? 창의력이 대단해!어때? 16차원의 전통놀이, ... ...
- ‘ 똥’도 사람마다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더럽다고 무시했던 분들, 잘 들으세요! 똥을 지문이나 홍채처럼 사람을 식별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답니다.똥으로 사람을 식별한다고요? 도대체 어떻게요?같은 유전자를 갖고 태어난 일란성 쌍둥이라도 지문과 홍채가 달라요. 마찬가지로 일란성 쌍둥이라도 똥이 다르다는 거죠. ...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창조한 생명체가 공포의 대상이 된 경우다. 대표적인 예가 프랑켄슈타인과, 유전공학을 이용해 만든 영화 ‘스플라이스’의 드렌. 생물 무기의 도래에 따른 좀비 영화2000년대 들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 탄저병, 신종플루 등 원인도 잘 모르고 대책도 마땅치 않은 신종 전염병이 많이 ... ...
- 햇밫 받으면 전기가 찌릿찌릿! 태양광연구단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해 주는 장치란다. 태양전지의 장단점장 점•공해 발생이 적어 친환경적이다.•무제한 이용 가능하다.•유지가 쉽다.•오랫동안 쓸 수 있다.단 점•비용이 비싸다.•설치 면적이 많이 필요하다.•설치 장소가 제한되어 있다.•낮에만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어때? 하늘에 태양만 뜨면 집에서 ... ...
- 은나노 입자, 위험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너무 작기 때문에, 보통 눈으로 볼 수 있는 물질과는 전혀 다른 성질을 보여요. 그래서 이용하기에 따라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었지요.서울대학교 약학과 정진호 교수 연구팀은 크기가 50~100㎚인 은나노 입자를 실험용 흰쥐의 기관지에 넣은 뒤 ... ...
- 방긋 웃는 모나리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있지요. 이런 방법을 ‘스푸마토 기법’이라고 해요. ‛X선 형광분광기’라는 기기를 이용하면, 이렇게 스푸마토 기법으로 그려진 물감층의 두께와 수, 성분은 물론 물감을 칠한 순서까지 알 수 있답니다.조사 결과가 궁금해요. 재밌는 내용이 나왔나요?호호호~, 그럼요. 분석 결과, 제 그림에는 ... ...
- 빨대 발명가 마빈 체스터스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호밀 줄기가 아닌데, 과연 어떤 걸~까?”당시 사람들이 위스키를 먹을 때는 호밀 줄기를 이용했다. 잔에 손을 대면 위스키 온도가 올라가 맛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마빈은 호밀 냄새가 싫어서 호밀 줄기로 위스키를 마시는 것을 싫어했다.“마침 잘 됐어. 가뜩이나 호밀 줄기가 싫었는데….”문제 ... ...
-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케미 인터내셔널’ 7월 12일자에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해 달걀의 껍질 부분에 있는 OC-17이라는 단백질의 구조를 연구했어요. 그 결과 이 물질에 집게와 같은 구조가 있어서 작은 탄산칼슘 조각을 붙잡는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OC-17에 붙잡힌 탄산칼슘은 다른 ... ...
이전728729730731732733734735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