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종류와 사냥 방법에 알맞게 진화했다는 연구결과를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스트’ 8월 7일자에 발표했다.뱅크스 교수팀은 동물 214종의 눈동자를 관찰했다. 그리고 생김새에 따라 세로로 길쭉한 ‘고양이 눈’, 사람 눈동자처럼 동그란 ‘둥근 눈동자’,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인 ‘네모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불었다면, 반환점을 돈 뒤에는 바람이 요트의 뒤쪽에서 부는 상황이 된다. 좀 더 수월하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상황에서 갑자기 문제가 생겼다. 결승선까지 한 바퀴가 남은 시점에 반환점에서 바람이 사라진 것이다. 우리 요트는 바람이 불 때까지 조금도 나아갈 수 없었다. 진작 반환점을 지나간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3월 새롭게 발견된 미지의 턱뼈 화석이 초기 호모 속일 가능성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4월호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참조). 하지만 화석에서 옛 인류의 특성이 많이 발견돼 아직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호모 날레디는 새롭게 추가된 초기 호모 속 후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 ...
- [과학뉴스] 좀비 개미의 최후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같은 불행이 반복된다. 미국의 사진작가인 아난드 바르마가 촬영한 이 사진은 월드 프레스 포토 재단이 선정하는 2015년 최고의 보도사진 ‘자연’ 부문 대상으로 뽑혀, 지난 8월 부산문화회관에서 전시됐다 ... ...
- [과학뉴스] 고슴도치 로봇으로 혜성 탐사과학동아 l2015년 10호
- (JPL)는 현재 개발하고 있는 신개념 혜성 탐사로봇 ‘헤지호그’의 모습을 9월 3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헤지호그는 우리 말로 ‘고슴도치’란 뜻이다. 정육면체 모양의 헤지호그는 실제로 모서리 여덟 군데에 본체를 보호하는 스파이크가 달려 있어 고슴도치처럼 생겼다. 내부에는 모터로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8월 26일에 찾은 서울 신촌의 이화웰니스센터 음악치료연구실에는 치료를 위한 작은 방이 3개 있었다. 가장 안쪽 방으로 들어가자 리듬을 만들고 편집할 수 있는 노트북과 랩에 멜로디를 더해줄 건반이 있었다. “가사는 써 오셨어요?” 김영실 음악치료사(연구원)가 물었다. 사전에 미리 랩 가사를 ...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발표한 연구 등 수많은 연구들은 DNA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이어트를 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기자에 앞서 유전자 다이어트 베타 서비스에 참여했던 사람은 한달 동안 무려 6kg이 빠졌다고 했다. 그런데 왜!9월 4일 질문이 빼곡이 적힌 A4 종이 3장을 들고 제노플랜 본사를 찾아갔다. ...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인류의 기원’은 오랜 과학동아 독자라면 기억할 인기 연재물 ‘인류의 탄생’(2012년 2월~2013년 12월)을 엮은 책이다. 한국 독자에게는 낯설 수 밖에 없는 진화와 고인류학 분야를, 식성이나 농업, 협동 등 일상에서 친숙한 소재로 풀었다. 이야기 중심의 파격적인 서술 방식과 친절한 설명 덕분에 ...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지원 받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산하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의 단장이다. 올해 4월 말에는 미국 국립과학원(NAS) 회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대부분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단체다. 세포들의 사회학물리화학 분야 권위자인 그의 최근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쉬운, 모두가 만족할 만한 학명이었다. 티라노사우루스를 소개한 논문은 1905년 10월 5일에 출간됐고, 두 사람의 예상대로 박물관은 티라노사우루스를 보기 위해 모여든 사람들로 북적이기 시작했다.굼뜬 괴수에서 재빠른 경보선수로1947년, 미국 예일대 피보디박물관은 화가 루돌프 잘링거가 5년에 ... ...
이전7297307317327337347357367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