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아직 미지수다.로봇은 앞으로도 전쟁에 여러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로봇을 만드는
데
는 원자폭탄이나 항공모함처럼 거대한 과학과 산업이 꼭 필요하지 않다. 가격도 저렴해 마음만 먹으면 개인도 충분히 위력적인 무기를 만들 수 있다. 목표까지 스스로 날아가는 작은 무인항공기에 폭탄만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터미네이터’처럼 완전한 인간형 전투로봇이 탄생하긴 어렵다. 기계 성능도 부족한
데
다 전쟁 상황에 걸맞는 인공지능 기술도 부족하다. 이런 문제 때문에 로봇공학자들은 로봇이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전쟁에 나선 군인들이 안전하게 전쟁을 치를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먼저 개발하고 있다.이런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씨앗인 ‘행인(杏仁)’은 호흡기 질환에, 복숭아 씨앗인 ‘도인(桃仁)’도 어혈을 푸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홍화씨는 뼈를 다쳤을 때 좋다고 하네요. 여러분의 삶이 식물의 씨앗과 얼마나 밀접히 연결돼 있는지 실감이 나시죠.지난 여름 동안 저는 꽃을 10여 송이나 피웠고 벌써 열매를 얻기도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담겨 있고, 왼쪽 눈에는 유혹의 눈빛이 들어 있다. 코와 이마의 왼쪽 부분이 남성적인
데
에 비해 입술과 턱의 오른쪽 부분은 소녀에 가깝다. 얼굴의 오른쪽은 여성적이고 내성적이며 왼쪽은 남성적이며 적극적이다. 윗부분은 성숙한 인물이지만 아랫부분은 어린 인물을 담고 있다.남성성과 여성성,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등가성의 원리’를 제시했다. 이 원리는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세우는
데
밑바탕이 됐다. 사이언스에 발표된 현대판 피사의 사탑 실험은 이 등가성의 원리가 미시세계에서도 통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등가성의 원리가 위배된다고 확인된다면 아인슈타인의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처음으로 북극해의 해빙 위에 직접 올라가 구멍을 뚫고 얼음과 생물을 채취했는
데
생각과는 많이 달랐다”고 전했다. 다만 얼음 속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은 채집할 수 있었다. 김 연구원은 “얼음 속에 언 상태로 겨울을 난 뒤 얼음이 녹으면 다시 살아나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연구할 것”이라고 ... ...
나로호 내년에 세 번째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원인을 찾기 위해 추가 시험을 진행할 것이며 이때는 상대방 입회 하에 실시한다는
데
합의했다. 추가 시험이 끝난 뒤에는 제4차 FRB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교과부 유국희 우주개발과장은 “3차 발사의 정확한 시기는 4차 FRB 회의 이후에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3차 발사에 들어가는 비용은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카사바의 전분 조절 시스템을 연구하면서 전분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분리하는
데
성공해 아밀로오스 함량이 50%나 많은 카사바를 만들었다. 전분이 많으면 타피오카도 많이 얻을 수 있지만 바이오에탄올 생산량도 증가한다.‘입을 즐겁게 하는’ 쫄깃쫄깃한 카사바가 식량위기를 해결하고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렇게 만든 현미경은 나노구조의 특성을 밝히거나 나노구조를 만드는 조건을 찾는
데
쓰인다. 나노광학연구실은 신소재공학부의 정건영 교수팀과 함께 인듐갈륨나이트라이드 청색 LED의 발광효율을 30% 이상 높일 수 있는 원천기술을 지난해 개발했다. 이 연구는 올해 4월 재료공학분야 세계적 ... ...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속에서 ‘왼손잡이’라는 장치는 이야기의 개연성을 확보하고 미학적 요소를 채우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과학에서 왼손잡이는 유전자가 만들어내는 통계와 확률의 결과다. 이 확률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유전학이 발전했다. 최근 영국 옥스포드대의 연구팀은 분자 정신분석학(Molecular ... ...
이전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