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의대 해부학교실크레파스로 그린 것 같은 노란색 민들레 꽃이 화면에 가득하다.
큰
창자의 일부분인 결장의 점막을 절단해 창자샘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사진에서 꽃처럼 보이는 부분은 창자샘이며 가운데 길쭉한 동그라미는 창자샘의 내강이다. 내강을 둘러싸고 있는 작은 동그라미는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1회 충전으로 160km를 주행할 수 있고, 최대 시속 130km까지 낼 수 있다. 출퇴근용으로는
큰
불편함이 없지만 아직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한 성능은 아닌 것이 현실이다. 중국의 자원외교 vs. 한국의 스마트 그리드재계에서 나오는 지적에 따르면 앞으로 리튬이온전지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 ...
나를 말해주는 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공감 성향이란 다정다감하고 남을 잘 이해하는 성향이다. 측정 결과 손가락 비율이
큰
, 즉 검지가 긴 편인 여성은 검지가 짧은 여성보다 공감 성향이 높았다. 남성은 공감 성향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손가락 비율에 따라 우울 성향이 다르다는 결과가 나왔다. 약지에 비해 검지가 긴 남성은 ... ...
가상세계에서 과학실험 맛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바꾸는 간, 혈액 안에 있는 노폐물을 걸러내 몸 밖으로 배설시키는 신장. 이 가운데 가장
큰
장기는 무엇일까.암기로 습득한 지식은 외운 내용 외에는 알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창의적으로 응용할 수 있어야 하는 과학을 제대로 맛보려면 직접 실험하고 체험해야 한다.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초기에 수소 가스가 모여 별이 만들어진 뒤 수십억 년 동안 소강기를 거치다가 주변에
큰
은하가 지나가거나 다른 은하와 합쳐지는 ‘사건’을 겪을 경우 중력의 영향을 받아 왜소은하 중심에 수소 가스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수많은 별이 탄생한다는 뜻이다.“청색왜소은하는 우리은하 같은 천체에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용액에 고압펌프로 압력을 가하면, 짙은 쪽에서 옅은 쪽으로 용매가 이동한다. 크기가
큰
용질 대부분은 막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다. 필터 역할을 하는 얇은 막은 폴리아미드 계열의 고분자 물질로 만든다.하루 4만 5000t 담수 생산 시설 2011년 완공“우리나라도 2011년엔 하루 4만 5000t의 ... ...
War between GOOGLE vs. MS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브랜드가치는 미화 1000억 달러(약 120조 원) 이상에 달한다. 현 시점에서 구글의 가장
큰
위협은 MS이다. 이 소프트웨어의 거인은 1억 달러(약 1200억 원)를 들여 자사의 새로운 검색엔진을 광고하고 있다. 그것의 이름은 빙이다. 빙의 광고들은 피하기 힘들면서도 신랄하다. 이제 구글은 망했고, 우리가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녹말분해효소가 덜 들어 있다. 따라서 녹말분자의 길이가 더 길어 면의 탄력성이
큰
것. 또 밀가루색이 누렇게 변하게 만드는 폴리페놀옥시다제라는 효소도 적어 밀가루 색이 더 밝다. 김 연구원은 “밀의품종이나 재배환경에 따라 밀가루의 특성이 다르다”며 “호주에 제면용 밀가루 시장을 뺏긴 ... ...
“멸종하는 유전자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간에 멸종할 운명인 조개는 결국 멸종했다는 얘기다. 로이 박사는 “멸종할 확률이
큰
유전자를 지닌 종들을 우선적으로 보호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합성해 기하광학으로는 설명이 안 되는 새로운 개념의 물리 현상을 발견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연구를 이끈 포스텍 김광수 교수는 “논문이 나가고 난 뒤 세계 곳곳에서 밀려드는 문의와 요청으로 업무를 제대로 할 수 없을 지경”이라며 “나노렌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좀 더 명쾌히 설명할 수 ... ...
이전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