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한반도까지 날아온 아프리카 화산재 첫 관측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발표했다. 노영민 GIST 국제환경연구소 교수팀은 레이저 레이다(라이다)를 이용해 2011년 한반도 상공의 성층권을 관측하던 중 6월 19일 이상 신호를 포착했다.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대기의 흐름을 역추적하고 위성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6월 12일 아프리카 에리트리아에서 폭발한 나브로 화산의 ...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국제학술지 ‘주키스’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해리플랙스 세베루스는 길이와 너비가 1cm 미만이며, 달걀 모양의 등껍질은 표면이 우툴두툴하다. 또 어두운 심해에 적응하면서 눈 크기가 작아지고 촉각이 발달했다. 응 교수팀은 두 가지 뜻을 담아 이 게에게 해리플렉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조울증 치료의 새로운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국내 연구진이 발표했다.서판길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정훈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피엘씨감 ...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분자 정신의학’ 1월 31일자에 실렸다 ...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연구팀은 지름 1m, 높이 1.37m의 원통형 쓰레기통을 구해 400L의 물과 미세입자를 넣은 뒤 1분당 75회까지 회전 속도를 높여서 실험했다. 이때 원심력에 의해 물의 표면이 포물선 모양으로 휘어졌다. 여기에 쓰레기통 바닥에 설치한 14개의 펌프로 물을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여섯 개의 서로 다른 흐름을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역사 속 여러 간호사 중에서도 기자의 눈을 단박에 끈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1991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기장(국제적십자위원회가 주는 전세계 최고 영예 상)을 수상한 박명자입니다(이꽃메, ‘나이팅게일 기장 수상자 박명자의 창조적이고 개척적인 간호업적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5.8).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엔젤만 증후군 증상을 나타내는 쥐의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기도 했고요(doi:10.1038/nature13975). 인간에게 사용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우리 희망을 걸어볼까요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운행됩니다. 연구소의 1층에는 누구나 무료로 방문할 수 있는 견학 공간이 있고요, 1년에 한 번 씩은 ‘오픈 하우스’도 진행합니다. 이틀 동안 ISAS의 모든 연구팀들이 각자 하는 일을 대중들에게 소개하는 자리인데, 유치원생들도 연구원들과 심도 있게(?) 얘기를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용해 한옥 모형 개발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완성한 한옥조립모형은 근정전을 100분의 1로 축소한 것으로, 실제 한옥처럼 작은 부품을 끼워가면서 조립한 가구식이다. 3537개의 부재로 구성된 한옥조립모형은 진짜 근정전을 그대로 복사한 듯한 모습이었다(왼쪽에서 두 번째 사진). 이렇게 정교한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착한 상상력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6개국에서 온 청소년 88명으로 구성됐다.원정대는 2017년 1월, 8박 9일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로 해외 캠프를 다녀왔다. 원주민 마을인 찬캇 빙탄(Chankat Bintang)에 방문해 주민들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지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해결책을 ... ...
- 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만약 지구가 흡수한 에너지 모두를 대기권 밖으로 방출했다면 지구 복사 온도는 255K(약 -18℃)이 될 것이다. 그러나 대기층이 에너지를 흡수해 재방출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288K(약 15℃)을 유지한다. 지표면 온도가 33℃가량 높아져서 생물이 살아가기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온실효과라고 ... ...
이전7337347357367377387397407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