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정"(으)로 총 902건 검색되었습니다.
- 4. 핵사찰 허점 많다과학동아 l1991년 11호
- 2,3년간은 달마다 IAEA사찰이 시행됐는데 그 횟수는 한국-IAEA안전조치협정의 보조약정에 규정돼 있는 연간 사찰횟수 45man-days를 초과하는 것이었다.그 당시 우리 정부에서는 IAEA 사찰횟수가 지나치게 초과돼 있음을 지적, 이 사실을 통보하고 사찰횟수의 축소를 요청했다. IAEA에서는 그후 매월 실시했던 ...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과학동아 l1991년 11호
- 사소한 논쟁을 피하고 구조의 아름다움만 추구하다보니 입출력과 같은 사소한(?) 규정에 소홀 했다. 그 결과 알골은 포트란의 인기를 따라잡지는 못했지만, 이 후에 나타날 파스칼(PASCAL) 등과 같은 현대 언어의 탄생에 산파역을 충실히 했다. 특히 배커스 표준형식(BNF, Bactus Normal Form)이 도입돼 ... ...
- 시공(時空)의 모서리과학동아 l1991년 10호
- 그 대답은 이러하다. 즉 우주의 경계조건들은 북쪽 방향을 지구의 북극으로 명확하게 규정지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초기 시간을 명확히 할 수 없다. 대폭발 이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느냐고 묻는 것은 북극에서 북쪽으로 1km 지점에 있는 한 점을 찾는 것과 같다.시간이 시작됐을때 우리가 측정한 ... ...
- (4) 한글언어개발 시급하다과학동아 l1991년 10호
- data type)인 'char'는 그 정의가 특정 기계에서 영문글자들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크기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글언어에서의 글자 표현을 위한 자료형은 한글 한 글자를 표현하는 데 충분한 크기여야 한다. 멀티바이트(multi byte) 형태로 처리하는 것은 영문중심의 사고방식이며, 한글을 ...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과학동아 l1991년 10호
- 그린 둥근 원으로, 또는 닭장을 기준으로 뒤뚱거리며 돌아다닐 수 있는 약간의 공간으로 규정한다면 인간의 행동반경은 어디까지 늘어날 수 있을까.농경사회에서 인간의 행동반경은 거주하는 생활 주변으로 국한됐다. 살고있는 마을을 중심으로 기껏해야 말이나 마차를 타고 갈 수 있는 곳까지였다. ... ...
- (1) KS한글코드 바뀌어야 한다과학동아 l1991년 10호
- 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유동적이라는 점이다. 현행 완성형 코드 제정의 근거가 된 ISO 2022 규정도 이제는 한물간 것으로 치부되고 있으며, 미국 유수의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를 주축으로 한 유니코드(Unicode)라는 연합체가 새로운 구심으로 떠 오르고 있다. 이 연합체에서는 유니코드라는 코드 체계로 전 ... ...
- 남북의사들, 원폭피해자 구제에 함께 나섰다과학동아 l1991년 08호
- 피폭자들에 대한 실태파악을 제대로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 일반적으로 피폭자 규정은 방사능 누출지점 반경 몇㎞ 이내에 있었던 사람으로(히로시마 경우 50㎞ 이내) 한다."-어떻게 피폭자 보상문제가 공동의 관심사로 제기됐나."북한은 지금 일본과 수교협상을 하고 있는데 전전(戰前)·전후 ...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1년 08호
- 펀치볼을 가장 세게 치는 사람이 복싱챔피언이 아니듯이, 사물의 평가를 한 가지만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에튜드4번과 「린팩」이러한 불편을 덜기 위해서 과학자들이 만든 문제가 있다. 마치 피아노음악에서 쇼팽의 '에튜드 4번'의 역할과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의 에튜드 4번이 있다. 린팩(LINPACK ... ...
- 중성화와 염화물이 수명을 단축시킨다과학동아 l1991년 08호
-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철근 콘크리트조 주택의 내구연한이 50년으로 규정돼 있는 법인세법의 시행규칙 제27조와 상충되는데, 이러한 점이 건축전문가와 일반거주자간에 문제가 될 소지가 크다.주택은 개인적인 소유물이면서 국민의 복지와 직결된 사회적 재화다. 아직 저소득층의 ... ...
-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91년 08호
- 도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렇다면 맨먼저 그 도형이 놓인 공간의 성격이 규정 돼야 한다. 기하학은 공간관을 전제로 하는 데 그것은 인간의 현실적인 체험에서 여과된 결과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은 기하학에서도 통용된다. 사회적인 경험의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