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인 외국인
영국인
양키
아메리칸
뉴스
"
미국인
"(으)로 총 770건 검색되었습니다.
야식이 비만·당뇨를 유발하는 이유
2014.10.26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롭 나이트 미국 콜로라도대 교수는 “이스라엘로 여행간
미국인
가운데 시차적응이 안 된 사람들의 장내세균 구성이 비만이나 당뇨 환자와 비슷하며, 시차적응이 된 뒤에는 세균 구성이 정상적으로 회복됐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덧붙였다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논문이 3편, 야간조명의 영향을 다룬 논문이 6편이다. 유럽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12편,
미국인
이 9편, 호주, 캐나다, 중국 등 기타가 7편이다. 아쉽게도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없는 것 같지만 내용을 보면 참고할 만하다. 위키피디아 제공 즉 교대근무를 하는 직업을 갖는 여성의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그는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을 융합한 첨단 의학 장비 개발의 선구자로 꼽히는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다. 2010년에는 그 성과를 인정받아 호암상을 수상했다. 한국기계연구원이 24일 개최하는 ‘2014 미래기계기술포럼 코리아’에서 루크 리 교수는 차세대 제조기술 세션에서 기조강연자로 나선다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뇌 속 신경세포가 서로 어떻게 연결됐는지 지도를 그리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국계
미국인
서배스천 승(승현준) MIT 교수는 신경세포의 구조 전체를 일컫는 ‘커넥톰(Connectome)’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새로운 경험을 할 때마다 커넥톰이 바뀌고 이 과정에서 기억이 생성되고 저장된다고 주장한다. ... ...
인터넷 끊어져도 스마트폰으로 4개 언어 자동통역
2014.09.01
CS아카데미에서 4개국 자동통역 시연행사를 시연해 보이고 있다. 이 행사에는
미국인
과 일본인, 중국인 원어민이 지니톡을 이용해 서로 의사소통을 진행해 보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해외여행 때 스마트폰의 데이터통신 접속 기능이 없이도 외국인과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 ...
한국엔 에볼라 앰뷸런스가 없다
과학동아
l
2014.08.26
사람이 살 수 있었던 건 미국의 의료기술과 에어 앰뷸런스 덕분이다. 에볼라에 감염된
미국인
환자를 본국으로 수송한 미국 피닉스에어사의 에어 앰뷸런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에어 앰뷸런스에는 환자를 안전하게 담아 오는 특수 플라스틱 텐트가 설치돼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 ...
오늘부터 한국에 ‘우주인’은 없다
2014.08.12
경영학석사(MBA) 과정을 밟기 위해 미국 유학을 떠났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한국계
미국인
과 결혼하고 미국에 머물던 중 퇴사를 확정했다. 항우연 관계자는 “이 박사가 계약에 따라 맡은 바 소임을 다한 만큼 절차에 따라 퇴직을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 ...
‘지맵’ 에볼라 고칠 기적의 약 될까
과학동아
l
2014.08.05
원숭이 4마리와 감염 48시간 내 신약을 투여받은 원숭이 4마리 모두 생존했다. 두
미국인
의 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위 사실을 공식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맵바이오파마큐티컬 CEO인 래리 자이틀린이 샌디에이고 주의 한 지역 매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에볼라 ... ...
에볼라 치료 실험약물 투여, 美 환자 두 명 증상 호전…백신 시판은 언제쯤?
동아닷컴
l
2014.08.05
받은 나머지 4마리 모두 생존한 것으로 알려졌다. CNN에 따르면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
미국인
감염 소식을 접한 뒤 이들이 속한 봉사 단체인 라이베리아의 ‘사마리탄스퍼스’ 관계자에게 ‘ZMapp’을 투여했다”고 말했다. 또한 CNN은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은 약물을 인체에 직접 투여한 것은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하루 만에 철수했다. 한편 16년 동안 대통령 모부투 세세 세코의 주치의로 일하던
미국인
윌리엄 클로우스(William Close) 박사는 아프리카를 해방시킬 영웅에서 독재자와 축재자로 변해가는 대통령 모습에 염증을 느끼고 미국에서 여생을 보낼 농장을 알아보고 있었다. 그런데 자이르의 보건부 장관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