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뉴스
"
학계
"(으)로 총 2,65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어디서 의식을 만들까…25년 해묵은 난제 첫 결론은 '뇌의 뒤쪽'
동아사이언스
l
2023.06.26
사그라드는 모습이 관측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통합정보이론을 뒷받침하지만
학계
는 전역신경작업공간이론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통합정보이론을 채택하기엔 아직 근거가 약하다는 것이다. 두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는 현재 진행형이다. 25년 전 ... ...
퀀텀 코리아 2023 개막…양자꿈나무 시상·노벨상 수상자 강연
동아사이언스
l
2023.06.26
2023' 개막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행사는 이날부터 29일까지 진행된다. 개막식에는
학계
에서 이름을 알린 석학들이 다수 참여했다. 양자얽힘 실험을 실시한 공로로 2022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세계적 석학인 존 클라우저 박사는 행사 축사와 함께 공모전에 입상한 초등학생 과학 꿈나무에게 ... ...
"금성 탐사, 생명체 존재 가능 외계행성 분석 기준점"
동아사이언스
l
2023.06.25
관측하고 분석할 때 비교할 기준점을 세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CI에 따르면 현재
학계
에서 가장 주목하는 금성 관측결과 중 하나는 활화산의 존재다. 지난해 과학자들이 마젤란 망원경의 관측 자료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활화산의 존재를 확인하면서 관련 연구가 활발해졌다. 화산활동이 ... ...
"생명체 있을 것 같은 행성, 대기·물 충분치 않아"...제임스웹 관측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것으로 추정되는 행성을 관측한 결과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환경임을 확인했다. 20일
학계
에 따르면 JWST가 지구에서 40광년 떨어진 '트라피스트-1' 행성계에 속하는 7개 행성 중 2개 행성을 관측한 결과 생명체가 살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대기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라피스트-1은 ... ...
이경무 서울대 석좌교수 “시각정보 읽어야 거대AI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특화 분야 워크숍을 여는 건 분야를 이끌고 있다는 걸 인정받는 것”이라고 평가하며
학계
에도 시각 AI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AI 특화 분야를 적극적으로 연구하면 초거대 AI 시대 경쟁 환경에서 살아남는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이 교수는 강조했다. 그는 “챗GPT처럼 엄청난 ... ...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가 게임도 했다
과학동아
l
2023.06.17
것으로도 기대를 모은다. 하퉁 교수는 5월 9일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컴퓨터
학계
는) 뇌의 작동방식을 연구해 컴퓨터와 AI를 만드는 방법을 배워왔다”며 “OI는 더 나은 AI를 만드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OI로 알츠하이머나 자폐증 등 질병에 걸린 뇌를 시뮬레이션할 수 ... ...
혈액검사·AI 예측…퇴행성 뇌질환 진단 패러다임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16
치료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 40개 이상 유전자 분석으로 발병 예측 15일
학계
에 따르면 에이미 후 홍콩과학기술대(HKUST) 교수 연구팀은 70%의 정확도로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유전자 분석 모델을 지난 4월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 메디신'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 ...
제9대 포스텍 총장에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3.06.15
부교수, 교수로 재직했다. 김 신임 총장은 물리화학 분야 탁월한 연구실적으로
학계
에서 다양한 공적을 인정받아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 제1회 국가 석학에 선정됐다. 2013년 영국 왕립화학회 펠로우(Fellow of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FRSC)에 선정됐고 비유럽국가 출신 최초로 세계 3대 물리화학 ... ...
'대변이식'으로 치명적 장 질환 환자 호전...난치병 치료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6.12
을 받은 치명적인 장 염증 질환 환자가 단기간에 몸 상태가 호전된 사례가 나온 것이다.
학계
는 체내미생물을 활용하는 대변이식이 다양한 난치병에 활용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12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벤 멀리쉬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ICL) 연구원 연구팀은 치명적인 위막 ... ...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었다?
과학동아
l
2023.06.10
시료들을 분석했는데 통계학적 지식을 생물분류학에 본격적으로 적용시킨 연구는 서구
학계
에서도 1930년대 후반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그런 면에서 그의 연구 방법은 비록 단순하기는 했지만 시대를 앞섰고 또한 지역에 뿌리내린 연구자가 지닌 강점을 극대화하는 것이었다. 석주명의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