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스페셜
"
생물
"(으)로 총 1,56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잡는 코로나바이러스 3종 관계망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말했다. 페드로 벨트라오 유럽
생물
정보학연구소 그룹리더는 “이러한 분석은
생물
학 정보가 코로나19를 비롯한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에 어떻게 실제 영향을 주는지를 보여준다”며 “바이러스 종을 살펴봄으로써 범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를 예측할 뿐 아니라 미래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치료 ... ...
코로나19 딛고 국제 올림피아드서 실력 뽑낸 22명 얼굴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개최된 이 대회에는 전세계 75개국에서 553명이 참여했다. 8월 11~12일 개최된 제31회 국제
생물
올림피아드 챌린지에서는 인희원 학생(경기과고3)이 금메달을 수상하고 김건오(서울과고3)·윤재원(대구과고3) 학생이 은메달, 김대일(서울과고3) 학생이 동메달을 수상했다. 이 대회에는 51개국에서 204명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있다. 이 원리에 입각해 진화론의 의미를 설명하자면, 한마디로 인간이 더 이상 특별한
생물
종이 아니라는 얘기이다. 윌버포스 주교가 그토록 진화론을 혐오했던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인간이 더 이상 특별한 종이 아니라는 인식은 우리의 기원을 탐구하는 데에 가장 결정적인 한 걸음이라고 할 수 ... ...
NYT "미 백악관 '봉쇄 해제' 그레이트 배링턴 선언 채택"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9에 대한 과학적 이해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이먼 클라크 영국 레딩대 세포
생물
학과 교수는 6일(현지시간) BBC와 인터뷰에서 "집단면역이 달성 가능할지 아직 불분명하다"며 "코로나19 감염 후 생성되는 면역력이 얼마나 지속되고 효과적일지도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스티븐 ... ...
[의학바이오게시판] 수면의학회 젊은 연구자상에 임희진 교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논문으로 수상했다.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와 한국혈관학회는 올해 국제혈관
생물
학총회에 전 세계 40개국 약 1200여명이 참여하며 성료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달 9~12일 국내참가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강연을 선정하여 국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한 패널 토론을 생중계했다. 초청강연을 ... ...
"봉쇄 풀고 고위험군만 보호하자" '그레이트 배링턴 선언' 뭐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대한 과학적 이해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이먼 클라크 영국 레딩대 세포
생물
학과 교수는 6일(현지시간) BBC와 인터뷰에서 "집단면역이 달성 가능할지 아직 불분명하다"며 "코로나19 감염 후 생성되는 면역력이 얼마나 지속되고 효과적일지도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스티븐 ... ...
유엔 "20년간 발생한 재해 과거의 약 2배...기후변화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교수는 “이 보고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같은
생물
학적 재해를 빼고 분석한 것”이라며 “향후 20년 동안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가 이런 속도로 늘어나면 인류의 미래는 암울하다”고 말했다. 더불어 “재난을 줄일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이 많이 있다”며 “이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박테리아의 씨가스-스팅이 원조인 것으로 드러났다. 네이처 제공 미국 하버드의대 미
생물
학과 필립 크랜주흐 교수팀은 박테리아의 씨가스 시스템 가운데 일부가 2018년 발견된 박테리아의 토에리스와 연결돼 동물의 씨가스-스팅 경로와 같은 방어체계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이번에 ... ...
[코로나19 연구속보] 당신의 반려동물도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하다
2020.10.13
가능성을 모델링 연구를 통해 예측했다. 연구논문의 제1저자인 수닷람 UCL 구조분자
생물
학 및 말레이시아국립대 연구원은 “실험실에서 이뤄진 실험과는 달리 우리가 고안한 동물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모델링은 자동으로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며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또다른 바이러스 ... ...
쌓이고 쌓이는 과학계 '혐중'정서…코로나19 연구로 돌파구 생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부추겨 ‘기술 도둑질’을 시킨다는 오명이 붙었다. 한 예로 미국 하버드대 화학및화학
생물
학부장인 찰스 리버 교수는 천인계획을 통해 우한공대로부터 매달 연구비를 지원받았지만, 미 정부에 이를 알리지 않고 기술을 빼돌린 사실이 발각돼 올해 1월 28일(현지시간) 연방 검찰에 체포됐다. 9월 1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