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스페셜
"
형태
"(으)로 총 1,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상 3상 끝나기도 전인데…인도, 자국 코로나 백신 ‘코박신’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포함해 자국에서 개발해 승인된 백신은 3상 임상시험이 완료되기 전에 긴급사용
형태
로 승인을 얻으면서 안전성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코박신이 승인되자 인도 업계 전문가들과 야당은 코박신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며 신뢰할 수 없다고 공세를 펼쳤다. ... ...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세포 조각들을 층층이 쌓아 패티
형태
의 소고기를 만들었다. 세포를 성장시킬 때
형태
를 잡아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스캐폴드’도 재료 하나하나에 신경을 써야 한다. 스캐폴드도 배양육에 포함되기 때문에 맛과 영양, 안전성을 신경써야 하는 것이다. 세포를 실험실에서 키울때는 플라스틱 ... ...
밀가루 반죽처럼 만든 갈륨,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순수한 액체 상태의 갈륨(a)에 흑연(b)을 섞은 뒤 수 분 동안 저으면(c) 밀가루 반죽 같은
형태
의 복합소재(d)가 만들어진다. IBS 제공 반도체와 발광다이오드(LED) TV의 핵심 소재인 갈륨(Ga)을 가공해 기능성 소재로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로드니 루오프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 ... ...
英 전문가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백신 내성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보다 조금 더 걱정을 하고 있다”며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의
형태
는 단백질 구조에 있어 꽤 실질적인 변화가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바이러스가 사람의 몸 안으로 들어오면 항체가 만들어진다. 항체는 바이러스 등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오면 이를 막기 위해 면역계가 ... ...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최소 34개국서 확인...남아공발도 국내 포함 4개국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새로운 유전물질이 생긴다”고 말했다. 변이를 겪으며 인체에 침투하기에 용이한
형태
로 변한다는 설명이다. 마리아 반 케르코베 WHO 코로나19 기술책임자도 “바이러스 확산이 길어질수록 변이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는 것”이라며 “지금 당장 확산을 막기 위해 모든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 ...
영국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전세계 확산…최소 33개국서 확인
연합뉴스
l
2021.01.02
9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유사한
형태
의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된 상태다. '501. V2'로 알려진 이 변이 바이러스는 11월 중순 이후 남아공에서 분석한 샘플의 90%에서 발견됐다고 NYT가 보도했다. 영국 정부는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 두 건을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변동이 마치 소리처럼 파동의 이동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평행한 ‘종파’
형태
였는데, 태양권계면 바깥으로 멀어지면서 파동의 이동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횡파’로 바뀌었다”며 “이 차이가 태양권과 성간 공간을 구분하는 특징이라 추측하고 있지만 보이저 탐사선이 ...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제대로 쓸 수 있는 그래핀을 만들 수 있게 됐다”며 “100개 중 90개 이상의 아주 일정한
형태
의 이물질이 없는 그래핀이 생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과의 연구협력도 이뤄졌다. 이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과 현재 LG소재기술원에서 개발한 대면적 그래핀 성장기술과 융합해 대면적의 그래핀 ... ...
"정부 R&D는 20% 불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재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한다고 했다. 염 부의장은 감염병 R&D의 궁극적인 목표로 미국의 국립보건원(NIH)
형태
를 제시했다. 염 부의장은 “감염병 전문가들은 체계와 역량을 갖추는 데 10년, 15년이 걸린다고 한다”며 “감염병연구소가 조직을 키워서 역량을 갖추는 데 엄청난 시간이 걸리는 동안 최고 수준 연구자들이 ... ...
"정부 R&D는 20%밖에 안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한다고 했다. 염 부의장은 감염병 R&D의 궁극적인 목표로 미국의 국립보건원(NIH)
형태
를 제시했다. 염 부의장은 “감염병 전문가들은 체계와 역량을 갖추는 데 10년 15년이 걸린다고 한다”며 “감염병연구소가 조직을 키워서 역량을 갖추는 데 엄청난 시간이 걸리는 동안 최고 수준 연구자들이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