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697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독]“신기한 갤럭시 기어? 곧 대중적 제품될 것”
동아일보
l
2013.10.07
착용할 수 있는) 기기다. 소니 등의 기존 스마트워치와 달리 통화와 사진 촬영
기능
등이 있어 스마트폰 대용품으로 쓸 수 있다.》 이 부사장은 “갤럭시 기어에 대한 세상의 반응을 충분히 들으려 한다”고 했다. 지난달 독일 베를린에서 제품을 처음 공개한 이후 그가 뉴욕과 파리, 밀라노를 오가며 ... ...
값싸고 독성없는 물질로 고부가 약 만든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02
β 아미노산은 의약품의 주요 성분으로 쓰이고 있는데, 이 중 4차 α,β 아미노산은 새로운
기능
의 펩타이드와 단백질 개발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물질이다. 연구진은 우선 비금속인 붕소 루이스산 촉매를 이용해 다이아조 화합물과 알데히드를 합성했다. 그 다음 ... ...
손목으로 옮긴 스마트폰… ‘양손의 자유’ 실감나네
동아일보
l
2013.10.02
광고”라는 반응을 보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노트3와 갤럭시기어에 적용된
기능
과 성능을 일일이 설명하기보다는 이 기술이 소비자의 일상을 어떻게 바꾸고 새롭게 만들지 보여 주기 위해 고민했다”며 “앞으로도 갤럭시노트3의 친절한 혁신을 다양하게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 ...
항암치료 때문에 신장이상? 걱정 끝!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항암제의 부작용을 제어할 수 있는 후보물질을 발견해 화제다. 원광대학교 대사
기능
제어연구센터 소홍섭 교수와 오기수 박사 공동 연구팀은 암 치료제 ‘시스플라틴’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 항암효과는 떨어뜨리지 않는 후보물질 ‘베타-라파촌’을 찾아냈다고 1일 ... ...
지적 장애, 이제 치료 가능하게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데 동일한 문제가 생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잘못된 단백질 합성 조절로 인해 뇌 구조와
기능
이 바뀌고, 결국 지적장애를 유발시킨 것이란 설명이다. 민 교수는 “다운증후군과 X염색체 증후군은 지적장애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라며 “치료제 개발까지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 ...
물러지기 쉬운 '복분자'를 보호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연구사는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면 품질 손실이 많고 유통기간이 짧았던
기능
성 소과류 처리작업이 수월해져 농가 수익 증대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튼살 생기는 이유?… 피부 위 튼살, 도대체 왜 생기나
동아닷컴
l
2013.09.30
급작스런 체중변화로 인한 피부 팽창이 피부 중간층의 콜라겐 생성 세포인 섬유아세포의
기능
을 멈추게 만들고 결국 엘라스틴 조직층이 찢어져 피부에 흉터를 남기는 것이다. 발생 초기에는 붉은색의 선이 나타나며 점차 색이 흐려져 백색의 튼살이 된다. 튼살은 의학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지만 ... ...
‘펜’이 ‘폰’을 살릴까… 스마트폰 신무기 경쟁
동아일보
l
2013.09.30
목표를 수정한 팬택이 야심 차게 내놓은 5.9인치 패블릿이다. 내장형 펜과 지문인식
기능
이 들어 있는 게 특징이다. 팬택 관계자는 “이동통신 3사 공용으로 롱텀에볼루션 어드밴스트(LTE-A) 스마트폰을 내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다양한 기술력과 노하우가 축적된 제품으로 시장에서 좋은 ... ...
논밭에 가지 않아도 농사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7
특히 u-FARM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우량종자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김형석
기능
성천연물센터 박사는 “종자들을 다양한 환경에 노출시킨 뒤 센서로 분석하면, 특정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우량종자를 선별할 수 있다”며 “로봇, 센서 등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작물의 생육관련 데이터를 ... ...
원하는 물질만 빨아먹는 나노 스펀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9.27
이용하면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그동안 초발수성 물질은 제작이 어렵고 시간에 따라
기능
이 빠르게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KIST 다원물질융합연구소 문명운 박사 연구팀은 이런 한계를 극복한 초발수성 물질 제작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탄소나노입자를 이용해 상온에서 ... ...
이전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