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0,358건 검색되었습니다.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04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었다. 이런 정도의 강한 지진은 20세기 들어 일본에서만 20여회, 전
세계
적으로 매년 2-3회 정도 발생하고 있다.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때마다 "우리나라에서 지진이 일어난다면 63빌딩은 안전한가?" "서울은 안전한가?" 하는 등의 질문을 자주 받는다. 많은 사람들이 다른 나라의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04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호작용과 물질순환, 그리고 에너지순환의 법칙이 존재하는
세계
에서는 죽음은 곧 탄생이다. 성장과 같은 시작도 끝도 없는 순환의 원리에서 하나의 과정일 뿐이다.따라서 효에 대한 교육적 가치, 조상에 대한 후손의 죄씻기, 가족 공동체의 화합 등의 이유로 한반도의 산천을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03
하지만 종들이 나날이 줄어들어 안타깝습니다. '보호하면 재상한다'는 것이 생물
세계
의 원칙입니다. 인간이 어느정도 생물 개체를 확보한 후 이용할 생각을 해야합니다.신희관현재 국내 철새 수가 줄어든다는 사실과 외국의 성공적인 보호사례 등을 사람들에게 많이 알릴 필요가 있어요. 누구나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03
츄키지 어시장 등 각나라의 대표적 풍물들이 소개되고 '미미의 사이버식당' 에는 전
세계
모든 음식과 양념에 관한 자료가 집결돼 있다. 예를 들어 음식중에 치즈를 선택해보면 수많은 종류의 치즈 이름과 제조법 등 잘 정돈된 자료가 펼쳐진다.이들 각 페이지를 훌어보면 대체로 미국과 일본의 ... ...
영어와 컴퓨터를 동시에 배운다
과학동아
l
199603
형편이다. 정보화 사회를 눈 앞에 두고 컴퓨터를 못한다고 컴맹 취급을 하더니 이제는
세계
화 바람을 등에 업고 영어를 못한다고 무시한다.작심삼일. 영어를 배우려고 했던 사람들이라면 한번쯤 겪었을 일이다. "올해는 기필코…" 하며 학원에 등록하거나 새로운 테이프를 산다. 한달 지나면 그나마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03
또한 같은 해 6월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에서 전화는 브라질 황제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유명인사들로부터 큰 관심과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벨은 전화의 발명가로 역사에 영원히 기록됐다. 그러나 그레이는 전신 시스템과 관련된 몇가지 부속 장치를 개발하는 것으로 그쳤고, 세월이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03
하버드 대학원에 입학한 84년 이후 5년 간. 중미 코스타리카에서 수행했다. 지도교수는
세계
적으로 개미연구의 권위자로 인정받는 명망가였다. 필자는 이외에도 딱정벌레 벌 박쥐 등의 생태에 조예가 깊다.인류가 최초로 농사를 짓기 시작한 것은 지금부터 약 1만년 전이다. 이는 산업혁명과 더불어 ... ...
1. 공통과학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과학동아
l
199603
이용하는 자들이 그렇게 만들 뿐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제2차
세계
대전 때 원폭 투하 이후 많이 바뀌었다.과학자들은 과학자이기에 앞서 이 시대의 역사를 살아가는 한 인간으로서 자신의 발명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 ...
치아
과학동아
l
199603
세제, 향료 그리고 잇몸병을 예방·치료하는 것과 치아를 표백하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세계
보건기구가 가장 확실히 효과를 입증하고 있는 것은 불소를 넣어 충치를 예방하는 치약이다. 따라서 아동이나 청소년은 반드시 불소가 함유된 치약을 사용해야 한다.이 외에 앞으로 널리 보급돼야 할 ... ...
새롭게 떠오르는 자원의 보고 심해저
과학동아
l
199603
심해저에서 수많은 생물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한국은 지난 83년부터 시작해 94년
세계
7번째로 광구 등록을 마침으로써 심해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심해저 탐사를 왜 하고 쟁점은 무엇일까. 또 최근 발견된 심해생물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본다 ... ...
이전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