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H.A.슈레이더
박사
와 영국의 J.N.모리스
박사
, 스웨덴 카로린스카 연구소의 G.비오르크
박사
는 칼슘이 많은 물을 마시는 사람의 심장병질환 사망이 적다는 사실을 규명, 건강에 좋고 맛이 좋은 물의 정체도 알아냈다. 물맛의 정체 흔히 말하지만 인간의 몸은 약70%가 수분이다. 그리고 매일 2.5ℓ의 물을 ... ...
피그미족은 왜 난장이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연구팀이 조사한바로는 성장 호르몬의 결핍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토마스 메리메'
박사
가 이끈 연구팀은 성인 피그미족의 평균키는 미국인보다 32cm나 작았다고 밝히고 그러나 피그미족이 태어날때부터 작은것은 아니라고 보고했다. 38개의 주요종족가운데 3살미만의 피그미족은 크기가 18번째로 ... ...
한국화약 그룹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따라서 아프터서비스업무도 연구소의 중점사업의 하나이다. 연구소 부소장 변재황
박사
는 연구소의 특징에 대해 '생산 연구 영업의 3위일체'를 내세운뒤 2년쯤 후에 있을 큰 변화를 미리 자랑한다. 1989년 초까지는 현위치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부지 8만평 연구동 8천평의 대규모연구소를 세워서 ... ...
최악의 공해에 최소의 대책도 없어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은 3년 전 학국과학기술원 윤한식(尹漢殖)
박사
가 실험실에서 연구개발한 아라미드 펄프로 지금까지로는 가장 완벽한 대체재로 평가되고 있다. 거의 완벽한 대체품이 나올 때까지 우리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석면 사용량을 줄이고 석면사용을 적절히 ... ...
미국 IBM연구소 윤도영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학문분야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야기를 할 수 있어 고국방문은 더욱 즐겁다는 윤
박사
는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의 두뇌 중 화학분야에서는 노벨상에 가장 가까운 사람'이라고 친구들이 추켜세우자' 그것은 희망에 불과하다'고 웃어버린다 ... ...
디자이너로서의 생물학 창조의 제8일은 시작되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얻어낼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뮌헨의 유전학 연구소에서 '안드레아즈프뤽툰'
박사
는 항체분자의 구조를 목적에 따라 임의로 변형시키기 시작했다. 항체는 중요한 물체 고유의 항독물질로서 유기체 내에서 이물질을 식별한다. 즉 이러한 이물질을 붙잡아서 그것을 식세포(食細胞)에 의해 잡아 ... ...
신약자체개발을 목표 동아제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암세포가 체내에서 번식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정상세포는 그대로 두고 암세포만 골라 집중공격을 한다면 문제는 쉽게 해결될 것이다. 마치 첨단의 ... 등 첨단의 시설을 갖추게 된다. 아울러 연구인력도 91년까지 1백여명, 95년까지 40명의
박사
를 포함한 2백여명으로 늘일 계획이다 ... ...
3차원 입체영상의 실현 홀로그래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홀로그램, 푸리에 홀로그램이 있다. 프레넬 홀로그램은 '라이스'
박사
와 '우파르닉스'
박사
에 의하여 개발된 홀로그램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기준파와 물체파가 서로 다른 광축상에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재생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반면에 '게이보'교수에 의한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명예교수·지질학) 식물분야에 임양재교수(중앙대·식물생태학) 동물분야에 우한정
박사
(산림청전임연구원)의 글로 엮었다.국립공원 설악산(雪嶽山, 1708m)은 천연기념물인 동시에 1982년 유네스코가 생물권보존지구로 지정한 곳이기도 하다. 설악산의 아름다움은 높은 산봉우리와 깊은 골짜기 ... ...
PART 2 지구와 물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있는 결정체이다. 이 함수결정체(含水結晶體)에 열을 가하면 물은 쉽게 나온다. 유리
박사
가 주장하듯이 지구가 처음부터 차가웠다면 결정체에서 나오는 물은 태초부터 지구상에 존재하였다. 그리고 후에 화산활동 등과 운석의 충돌에 의한 열때문에 지구내부의 암석중의 물이 밖으로 나와 오늘날과 ... ...
이전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