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유연한 유전자의 비밀은 후성유전학식물은 빛과 토양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생장할 수 있다. 빛이 충분한 경우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잎을 넓게 발달시킨다. 반대로 빛이 부족하면 잎의 크기를 줄이고 보다 나은 빛 환경을 찾을 수 있게 줄기를 길게 만든다. 질소가 풍부한 토양을 만 ...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먼저 간단한 심리테스트를 해보자. 여러분이 선택한 질문은 각각 공포영화를 즐기는 사람들의 특성을 말해주고 있다. 1번 질문은 ‘현실검증력’에 대해 묻고 있다. 어떤 자극이 우리 마음에서 일어나는 환상인지 실제로 일어난 사건인지를 구별하는 능력이다. 이 능력이 아주 뛰어난 사람이라면 ...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드디어 만났다. 명왕성과 그 달의 협곡을. 이로써 뉴호라이즌 호는 태양계 바깥에 있는 천체를 탐사할 첫 번째 탐사선이 됐다.7월 1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위치한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학연구소(APL)에서 뉴호라이즌 호의 최근접점 통과 순간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했다. 현장 ... ...
- 피구왕 통키의 불꽃슛?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태양에서 날아온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만나면 어떤 모습일까. 미국 뉴햄프셔대의 우주과학자 시바 카보시는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이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시뮬레이션 해 5월 11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했다.‘켈빈-헬름홀츠파’라고 ...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중력파를 관측하게 되면 우주를 보는 인류의 시야가 획기적으로 넓어진다. 대표적인 예가 블랙홀이다. 광학망원경이나 전파망원경처럼 빛을 이용해 관측할 수 없던 블랙홀도 중력파를 이용하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중력파 관측소는 미국에 있는 레이저 간섭계 ... ...
- 너도 금사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소년과 소녀가 한 달 만에 만났습니다. 다행히 둘다 본격적인(?) 바람은 안 피웠지만, 각자 지은 죄가 있으니 마음이 편치는 않습니다. 둘 사이에 살짝 어색한 공기가 흐르네요. 소년이 짐짓 명랑하게 외칩니다. “우리 천문대 가서 별 볼까? 오늘(8월 20일)이 견우와 직녀가 1년 중 단 한 번 만난다는 ...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두 발로 걷고 두 손으로 일하는 인간형 로봇은 넘어지지 않게 자세 잡는 일이 대단히 어렵다. 움직일 때마다 균형을 맞추기 위해 온 몸의 관절을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더구나 재난수습로봇은 장애물 가득한 곳에서 복잡한 업무를 연달아 수행해야 한다. 짜임새 있게 설계된 소프트웨어 없인 ...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제목이 이상하다. 쉬운 일을 어렵게 한다? 이 복잡하고 힘든 세상, 어려운 일을 쉽게, 더 쉽게 해도 모자랄 판에 왜 어렵게 한다는 말인가. 하지만 일단 해보면 헤어나올 수 없는 ‘느림’의 미학이 있는 분야가 있다. ‘쓸데없는 고퀄’이 미덕으로 칭송 받고, 복잡하고 엉뚱할수록 찬사를 받는 기계 ... ...
- 볼넷을 사랑한 4번타자, 평가는?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작은 이병규(이하 이병규, 등번호 7번)는 같은 팀에서 뛰는 큰 이병규(등번호 9번)와 구분하기 위해 팬들 사이에서 부르는 애칭이다. 이병규는 올해 팀의 4번 타자로 주로 출장하고 있지만 팀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득점권(주자가 한 명이라도 2루 이상에 있을 때)에서 주자를 불러들이는 능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일반상대성이론의 우주론적 고찰’. 1917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논문이다. 우주의 탄생과 변화를 일반상대성이론으로 밝힐 수 있다는 점을 처음 발견한 순간이다. 아인슈타인 자신은 비록 풀이를 찾아내지 못했지만, 프리드만, 드지터, 톨만, 로버트슨, 월커 등 과학자들이 1920~1930년대에 걸쳐 풀 ... ...
이전7427437447457467477487497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