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의대수
대수
스페셜
"
일의
"(으)로 총 1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눈높이' 딥러닝으로 AI 훈련 속도 단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이재길 KAIST 전산학부 교수와 송환준 지식서비스공학대학원 박사과정생, 김민석 박사과정생, 김선동 박사(왼쪽부터)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이 학습하는 과정에서 AI의 학습 수준에 난이도를 맞춘 문제를 골라 냄으로써 정확도를 높이고 훈련 속도를 단축하는 심층학습(딥러닝) 방법론을 개발했다. ... ...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20일 소행성 '베누' 표본 채집 생중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가 한국시간으로 이달 21일 오전 7시 12분 소행성 '베누'에서 표본을 채취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NASA 제공 지구로부터 약 3억 3400만 km 떨어진 소행성 ‘베누’를 탐사 중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가 21일 아침 소 ... ...
국내 연구진, AI 제어하는 세계 첫 전자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연구팀이 개발한 세계 최초 인공지능 제어 전자현미경. 포스텍 제공 전자현미경은 광학현미경보다 배율이 훨씬 높고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전자빔과 시료의 특성 같은 지식이 필요해 초보자는 쉽게 다룰 수 없다. 이 때문에 생산과 품질을 담당하는 산업현장에서는 전자현미경 사용 ... ...
코로나19 신규 확진 58명...5일 연속 두 자릿수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진자가 무더기 나온 경기 광주 SRC 재활병원에서 방역당국 관계자가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새 58명 늘었다. 전날 76명보다 18명 줄며 지난 16일 이후 5일 연속 두 자릿수 ... ...
[백신 업데이트] "러시아 코로나19 백신 최종임상 결과 이르면 내달 발표"
연합뉴스
l
2020.10.20
로이터 보도…"4만명 참가자 중 5천∼1만명 자료 포함" 한국서도 생산될 듯…백신개발 지원 펀드 대표 밝혀 러시아가 자체 개발하고 승인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 V'.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러시아가 자체 개발하고 승인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 ... ...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미국 국립과학재단에서 패커드펠로십 수상자로 선정된 미국 콜로라도대 볼더캠퍼스의 에드 추옹(오른쪽) 교수가 대학원생 제자와 함께 실험을 하고 있다. 콜로라도대 제공 어떤 사람들은 왜 다른 사람들에 비해 바이러스에 강할까? 미국 콜로라도대 볼더캠퍼스의 에드 추옹 교수는 수백 ... ...
플라스틱 젖병, 5500만개 미세플라스틱 나온다…한국선 하루 130만개 노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플라스틱인 폴리프로필렌(PP)으로 만든 유아용 젖병으로 분유를 타는 과정에서 최대 5500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올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트리니티대 제공 플라스틱인 폴리프로필렌(PP)으로 만든 유아용 젖병으로 분유를 탈 때 최대 5500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 ... ...
감사원, 월성1호기 조기 폐쇄 감사 결과 20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월성 원자력발전소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감사원이 ‘월성1호기 조기폐쇄 결정 타당성’에 대한 감사를 마무리하고 19일 감사 결과를 최종 의결했다. 지난해 감사에 착수한 지 약 1년 만이다. 감사원은 이날 오전 최재형 감사위원장과 감사위원 5명이 참석한 가운데 감사위원회를 열고 감사 ... ...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그레그 서멘자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와 일본 교토대 의대 교수가 함께 2001년 쓴 '생물화학저널'의 논문 그림이다. 단백질의 존재와 양을 조사한 웨스턴블롯 데이터 일부로, 화살표와 사각형으로 표시한 이미지가 모두 같다. 같은 이미지 가운데 맨 왼쪽 이미지는 잘라 붙인 듯한 흔적도 보인 ... ...
할미꽃 개화 기간 점점 짧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기온과 강우량에 따른 초본식물의 개화 시기 변화. 기온 상승은 개화 시기를 앞당기고 봄철 강수량 감소는 개화 종료 시기를 더욱 앞당긴다. 이로 인해 봄철 강수량 감소를 동반하는 온난화는 개화 시기를 앞당기고 개화 기간을 단축시킨다. 서울대 제공 줄기에 딱딱한 목질을 형성하지 않는 할미꽃 ... ...
이전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