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속의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때문에 별도의 보정과정이 필요하다.시간차이는 왜 생길까 . 상대성이론은 어디에?
결론
적으로 말하자면 지상의 수신기와 인공위성과의 속도와 중력차이 때문에 시간차이가 생기고,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을 이용한 계산을 통해 이 시간차이를 보정해서 GPS에 사용된다. 특수상대성이론은 ... ...
수학으로 팡팡! 애니~팡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매사추세츠공대의 컴퓨터공학과 과학자들은 테트리스 게임이 ‘NP-하드’문제라고
결론
을 내렸다. P문제는 쉬운 문제로, 문제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을 어떤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반면 NP문제는 문제에 대한 답이 맞는지 확인하는 시간만을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을 뿐, 문제를 푸는 데 ... ...
태양에서 물이 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달 표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얼음 형태의 물 입자가 태양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양 리우 미국 테네시대 박사팀은 달에 있는 물 입자 ... 발견되지 않는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달의 물 입자를 이루는 수소이온은 태양풍에서 전달됐다는
결론
을 내렸다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비행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해도 위험한 일은 없다는 최종
결론
이 나왔다”고 설명했다.나로우주센터에서 나로호가 발사되면 제주도와 일본 서쪽 후쿠시마에서 각각 약 100km 떨어진 곳을 지나 비행한다. 발사 후 3분 이내에 고도 100km를 돌파하게 되는데 페어링 분리 ... ...
확장한글의 꿈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문제가 있기에 확장하자는 걸까. 우리는 말하고 쓰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지 않은가.
결론
부터 이야기하면 외국어 때문이다.세종대왕의 꿈이 이루어진다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처음 만들 때부터 조선 사람만 염두에 두지 않았다. ‘훈민정음 해례’에서 ‘천지자연의 소리가 있으면 반드시 ... ...
생각하는 만화 그리는 빠나나 박사 이기진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스스로 생각할 수 있길 바라요. 어떤 것에 호기심을 갖고 오랫동안 생각해 자기만의
결론
을 내는 것이 물리, 즉 과학이에요.생각하는 만화 그리는 과학자짱구는 못말려’처럼 유쾌하게 웃을 수 있는 만화가 좋아요. 저도 어린이들이 깔깔깔 웃으며 행복하게 읽는 만화를 그리고 싶어요. 그래서 물리 ... ...
Part II. 스트레스가 남긴 고통스런 흔적, 만성피로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교수도 ‘도핑사회’라는 말로 이런 사태를 예견하고 있다. 스스로를 소진시키는 우리의
결론
이 스스로의 몸을 화학적으로 도핑하는 것이라면, 이보다 더 끔찍한 일이 또 있을까.오늘날의 삶은 역설적이다. 실제 우리의 삶과 식생활은 피로를 추구하고 있다. 야밤에 카페인을 타 마시며 못다 이룬 ... ...
삼성이 특허전쟁에서 애플에 진 까닭은?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그러나 이같은 UI와 UX는 인간을 이해하는 애플의 철학이 반영된 융합기술이라는
결론
이 내려졌다. 과학기술 중심의 사고로는 이해하기 어렵다.글로벌 특허전쟁을 계기로 미래에는 기술이 좀 더 예술쪽으로 움직일 것이다. 자기 기술의 우수함만으로 남을 설득하는 시대는 이제 끝났다.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결론
부터 말하자면 거짓말이다.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말했다고 해서 원망하지는 말자. 엄마가 일부러 그러는 건 아니다. 자녀차별은 오랜 진화 과정에서 얻은 본능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도 엄마가 여러분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뿐.누가 번식 가치가 ... ...
광합성 하는 곤충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많이 받으면 ATP가 더 많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연구팀은 진딧물도 광합성을 한다는
결론
을 내렸다.연구팀은 “카로티노이드 분자가 모인 진딧물 껍질 0~40μm(마이크로미터) 깊이 부근은 햇빛을 받아 흡수하기 최적의 위치”라고 설명했다. “진딧물이 정말 카로티노이드로 광합성을 하는지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