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소수가 답으로 나옵니다. 40개에 불과하기는 하지만 오일러는 소수라는 벽돌을 만드는 기계를 만들어 순서대로 하나씩 쌓아올렸습니다. 18~19세기에 활동한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전혀 다른 관점으로 소수의 세계를 탐험했습니다. 소수의 개수가 몇 개인지 알아내는 데 주목한 ...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수 있다. 컴퓨터 없이 단독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MS는 ‘마인크래프트(블록을 쌓아 기계를 만들어 동작시키거나 마을을 만들어 운영하는 게임)’를 홀로렌즈로 구동하는 모습을 공개하기도 했다. 현재 홀로렌즈는 개발자 위주로 설계됐지만, MS는 2019년 일반 소비자를 위한 홀로렌즈 신제품 출시를 ...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사실 하늘을 날고 싶다는 꿈은 아주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어. 그래서 우리 형제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하늘을 날기 위해 수많은 도전을 했단다. 그리고 그 도전은 열기구에서부터 시작되지. 라이트 형제로 한 번, 제트엔진으로 한 번! 사람이 하늘을 비행한 공식적인 첫 기록은 1783년 프랑스의 ...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자율비행 택시 서비스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된답니다. ● 인터뷰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문형필 교수 "자율비행의 핵심은 센서랍니다!" Q 자율비행 드론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자율비행 하는 비행기는 센서 기술이 매우 중요해요. 비행하면서 실시간으로 환경을 인식해 장애물을 ... ...
- Part 1.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115주년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처음으로 비행에 성공했을 때의 순간이 어땠냐고? 흠…. 그날은 정말 추웠어. 전날 밤 비행할 언덕 근처 오두막에서 잠을 잤는데, 아침에 일어나 보니 웅덩이가 얼어붙어 있었지. 차가운 겨울 바람을 타고 그렇게 우리는 하늘을 날아올랐단다! 플라이어 1호, 날아오르다! 1903년 12월 17일 오전 10 ... ...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그런데 무인 드론 택시가 늘어나면, 하늘길은 점점 복잡해질 텐데, 그러다 사고라도 나면 어쩐다~. 복잡한 하늘길을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 웨이포인트를 찍고 가라! 현재 항공기는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조종사와 항공 관계자들이 정해놓은 길을 따라 비행해. 이런 하늘길은 웨이포인트(Way ... ...
- Intro. 라이트 형제도 깜짝 놀란 드론 택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12월 17일, 115주년을 맞아 소환됐는데…. 으악! 그런데 저게 뭐야? 희한하게 생긴 기계가 날고 있잖아. 115년 동안 엄청나게 많은 일이 벌어진 게 분명하군! 어떻게 된 일인지 직접 알아봐야겠어. Intro. 라이트 형제도 깜짝 놀란 드론 택시의 비밀Part 1.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115주년 되다!Part 2.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이야~. 현대의 비행기를 타면 10시간 만에 서울에서 미국까지 갈 수 있다고?! 정말 놀랍군! 그런데 이 속도로도 아직 만족할 수 없어서 소리보다 더 빠르게 나는 비행기를 만들고 있다고?! 소닉붐을 극복하라 흔히 엄청나게 빠른 비행기를 ‘초음속 비행기’라고 해요. 초음속은 소리가 전파되는 ... ...
- Part 3. 실크로드 바다 아래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중국-대만 해저터널의 경우 ‘터널보링머신(TBM)’이라는 거대한 드릴처럼 생긴 기계로 땅 속을 뚫을 계획이에요. 그런데 터널의 길이가 길어지면 단순히 드릴로 뚫듯 한 방향으로 터널을 파기 어려워요. 공사 기간이 엄청나게 길어지고, 사고라도 발생하면 탈출하기 어려울 테니까요. 그래서 중국은 ...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그러다 구멍의 크기가 잘못되면 인공지능이 이를 인지하고 불량품으로 처리해요. 또 기계의 드릴을 교체해 더 이상 불량품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했답니다. 이어 탐방 대원들은 명지과학기술대학교의 OLED 개발 연구소를 방문했어요. 이곳은 먼지에 예민한 장소이기 때문에, 입장하기 전에 방진복을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