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립
창건
창설
창립기념
축하
d라이브러리
"
기념
"(으)로 총 1,292건 검색되었습니다.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하기 시작했어요. “안녕? 난 2라고 해.‘어린이과학동아’두 돌을 축하해! 창간 2주년을
기념
해 친구들을 모두 2의 세계로 초대할게. 숫자 2 모양의 동물인 백조를 타고 2의 세계로 날아가 보지 않을래?”신비한 숫자 2의나라2의세계로날아가면서국어사전을펼쳐2에대해찾아보았다.‘ 이[二/貳] [수사] ... ...
크리스마스 장식은 천연
기념
물?!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빨간색 열매는 피와 고통을 의미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호랑가시나무 군락을 천연
기념
물 제122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변산반도 부안군 산내면 도청리에서는 호랑가시나무가 군락을 이뤄 흰 눈 속에 빨간 열매가 수놓는 장관을 볼 수 있다. 미국에도 유명한 호랑가시나무 군락이 있다. ... ...
INTRO 8일간 환상의 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가져와 우주공간에 띄웠던 500원 짜리 동전은 어떨까. 먹다 남은 우주식량이 좋은
기념
품이 될지도 모른다.데니스 티토(Dennis Tito)“우주여행은 천국을 다녀온 기분이었습니다. 내 인생 최고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내 자녀들이 태어난 사건 다음으로 일생의 가장 가슴 벅찬 경험이었습니다. 하라쇼, ... ...
DAY 5-6 지구 궤도 진입 10분, 도착은 48시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수 있다. 함께 떠난 우주인에게 우리나라 전통 가요를 들려주면 좋아하지 않을까.여행
기념
품을 미리 가져가는 것도 센스! 사랑하는 연인이 있다면 커플반지를 우주로 갖고 갔다가 귀환과 동시에 전해 주면 멋진 프러포즈가 될 것이다. 아쉽지만 여행객들이 휴대할 수 있는 물건은 10kg 이내로 무게 ... ...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20만명이 넘는 사망자를 냈다. 그 후유증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61년이 지난 평화
기념
공원에는 종이학을 이고 서 있는 원폭어린이상이 있다. 원자폭탄의 영향으로 백혈병에 걸린 사사키 사다코가 원자폭탄이 떨어진 뒤 10년만에, 삶의 소망을 담은 천마리 종이학을 모두 접지 못한채 세상을 떠났다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받은 뒤 연구보다 교육에 더 큰 열정을 나타냈고 나중에는 거의 연구를 중단한 채
기념
식이나 연회를 쫓아다니며 술에 취한 모습을 자주 보였다고 한다. 주변 사람들은 노벨상이 주는 스트레스 때문일 것이라고 걱정했다. 물론 그가 발명해놓은 기구는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다.샤르파크 박사에 ... ...
대~한민국! 2006 동물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이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서 코끼리 선수는 탈락!끈기와 집념, 진돗개허흠. 난 천연
기념
물 제53호야. 수비수는 무엇보다 끝까지 쫓아가서 공을 빼앗는 끈기와 집념이 중요하지 않겠어? 한국에서 진돗개는 한번 물면 놓지 않는다는 걸로 유명하다구. 그렇다고 선수를 물겠다는 건 아니야. 그만큼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만나면 ‘시카고에 있는 피아노 조율사의 수는?’과 같은 문제를 내곤 했다. 그를
기념
해 어림문제를 ‘페르미 문제’(Fermi Problem)라고도 부른다.순한 소주 정말 순할까유럽연합(EU)은 믿을 만한 상거래를 위해 어림을 도입했다. EU에서 최근 ‘’란 기호를 만들었다. 는 ‘estimation’(어림)의 ... ...
마을숲은 한국형 생태도시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해서 ‘방조어부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물건리숲’이라고도 불린다. 천연
기념
물 150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19세기 말 숲의 일부를 벌채했다가 폭풍으로 큰 피해를 당한 뒤부터 더욱더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 이 숲을 해치는 사람은 쌀 5말을 마을에 바치기로 약속하고 온 마을이 힘을 합쳐 ... ...
집도 인생도 살면서 완성되는 미완의 건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고 김수근 선생의 ‘공간’ 건축 문하생으로 들어가게 된 것. 몇 개월에 한번씩 ‘월급
기념
일’만 있었지만, 1년 365일 밤을 새며 일했지만 15년 동안 고 김수근 선생과 치열하게 토론하며 만들어낸 건축에 대한 혼은 현재 승효상 건축의 큰 축을 이루고 있다.김수근 선생이 돌아가신 뒤 ‘이로재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