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장"(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있다이번 호에서는 인간(그리고 외계인)의 손을 벗어나 저절로 자의식을 얻은 존재가 등장하는 작품을 다뤘습니다. 지금 우리가 활용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스스로 학습하며 발달할 수 있지만, 아직 살아있는 생명체라고 할 수 있을 만한 수준은 아닙니다. 혹시 지금 이 순간 아무도 모르게 ... ...
- [이달의 책] 나는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더 위험한 과학책 외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하나씩 풀어준다. 탐험은 인류의 본능이다 약 20만 년 전, 아프리카 대륙에서 등장한 인류의 조상은 대륙을 떠나 빠르게 중앙아시아,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시베리아나 대서양을 횡단하기도 했다. 이제는 지구를 넘어 대기권 밖으로 우주선을 쏘아올린다. 저자는 인류의 유전자 속에 탐험하고자 ... ...
- 문화재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105년 전 사라진 문화재가 휴대전화 속에서 되살아나고, 조선 시대의 시조는 3D로 현실에 등장했어. 멋진 방법으로 되살아난 문화재를 소개할게! AR로 다시 태어난 돈의문! 지난해 8월 20일 서울시 정동사거리에는 105년 전 사라진 돈의문이 디지털로 되살아났어요. 돈의문은 한양도성의 4대 문 중 ... ...
- [매스미디어] 수학이 보이는 자칭 먹방 예능, 도레미마켓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시대별로 가장 빈번하게 나오는 단어를 100개씩 추려내 각 단어가 한 가사 안에 같이 등장한 횟수를 따져 연결망을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랑은 눈물의 씨앗’이라는 가사에서 사랑-눈물-씨앗을 연결하고, ‘목포의 눈물’이라는 가사에서 목포-눈물을 연결합니다. 이렇게 하면 ‘사랑’과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형제’ , 렙틴과 그렐린 뇌의 작용은 자세히 모르더라도 식욕이 언급될 때마다 자주 등장해 대중에게 친숙한 ‘호르몬 형제’는 들어봤을 것이다. 바로 식욕 억제 호르몬 렙틴(leptin)과 그 반대 작용을 담당하는 그렐린(ghrelin)이다. 렙틴은 지방세포에서, 그렐린은 위장에서 나온다. 먼저 렙틴을 ...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연구해온 김승규 인천대 해양학과 교수는 “1960년대 미세플라스틱을 다룬 논문이 처음 등장했지만 주목받지 못했다”며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사회적인 환경문제로 공감하기 시작한 것은 2004년 이후”라고 설명했습니다. 2004년 리처드 톰슨 영국 플리머스대 생물및해양과학부 ... ...
- [특집] 비밀의 방 - 보이니치 필사본을 해독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것이다.2017년 유리 올로프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응용수학연구소 연구원팀은 글자가 등장하는 빈도를 측정해 현대 언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보이니치 필사본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현대 언어로 보면 모음과 공백이 없는 형태임을 발견했다. 수고→ㅅㄱ, 응응→ㅇㅇ처럼 자음만 쓰는 ... ...
- [기획] 15퍼즐과 루빅스 큐브도 마르코프 연쇄로 공정하게 섞자!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알아낼 수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사실 카드 섞기에 대한 설명을 듣고 더 어려운 개념이 등장할 줄 알고 난처했는데 다행입니다. 하하. 말씀드리는 사이에 인공지능 퍼즐 로봇 알파와 피에로 고수가 발가락으로 루빅스 큐브 맞추기 대결을 시작할 준비를 마쳤다고 합니다. 자, 그럼 공정한 대결의 ... ...
-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파울 슈테켈의 논문에 표면 위의 두 점 사이의 최단 경로를 어떻게 찾을지에 대한 내용이 등장해. 슈테켈은 입체도형 표면에서의 ‘직선’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를 고민했어. 평면에 서의 직선은 생각하기 쉬운데, 굽어 있는 면을 지날 때의 직선, 즉 측지선은 상상하기 쉽지 않았지. 슈테켈이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은 ‘조씨 성을 가진 자가 왕위에 오른다’라는 뜻으로, 조선의 왕인 중종 시대에 등장했던 문구예요. 당시 개혁파였던 조광조를 미워한 반대파가 나뭇잎에 꿀로 이 문구를 적어 벌레들이 갉아먹도록 했어요. 왕의 오해를 산 조광조는 결국 사약을 받죠. 그런데 정말 나뭇잎에 꿀을 바르면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