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문
일간지
뉴스페이퍼
뉴스
신문지
페이퍼
신아일보
d라이브러리
"
일보
"(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기호를 짐작할 수 있으므로 시험절차가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ESP시험을 진
일보
시킨 인물은 찰스 호노턴이다. 그는 간츠펠트(Ganzfeld)실험을 창안했다. 간츠펠트는 독일어로 완전한(ganz) 계(feld)를 뜻한다. 간츠펠트라는 용어를 쓴 까닭은 실험대상자의 마음이 산란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 ...
인류의 건강을 지켜준 비타민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지난 1997년부터 국내에서 중년여성들 사이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 있다. 눈가의 잔주름을 펴준다는 레티놀이 바로 그것. 마치 의약적으로 효능이 있는 것처럼 인상을 풍겨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나게 팔렸다. 한 화장품회사에서는 발매 5개월만에 약 3백4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한 ... ...
DNA분자기계로 뇌혈관 청소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DNA로 컴퓨터회로를 만들거나 엉겨 붙은 뇌혈관을 청소하는 일을 하는 미세 장치를 만들게 될 것 같다. 뉴욕대학의 시먼 박사와 동료들은 DNA로부터 ‘움직이는 부품’을 얻어냈다고 발표했다. 이 장치는 두 가닥으로 꼬인 DNA나선을 접합시켜 얻어냈는데 그 모양이 경첩과 같다. 특정 화학용액에 노 ... ...
가락지성운은 원통모양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한 행성상 성운 중 하나인 가락지성운의 모양이 링이 아니라 원통형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지구로부터 2천 광년이나 떨어진 거문고자리에 위치한 가락지성운(M57)은 지름이 약 1광년이나 되는 가스 덩어리다. 행성상 성운은 별이 수명을 다하고 폭발하면서 잔해가 우주 공간 ... ...
신화속의 태양계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천문학(天文學)을 하늘(天)에 관한 문학(文學)이라고도 한다. 천문학 용어가 역사 속의 신화가 같은 문학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화를 알면 천문학에 대한 눈이 트인다고 한다. 태양계가 바로 그런 예다.신화 속에는 고대인들의 우주관과 세계관이 담겨 있다. 지금의 시각으로 보면 황당한 ... ...
과학으로 본 운명학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타고난 생년월일의 사주만 가지면, 혹은 얼굴만을 보고도 그 사람이 겪어온 과거의 인생행로를 용하게 맞춘다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이들은 과거에만 머물지 않고 미래의 운명까지 알 수 있고, 인간의 힘으로 운명을 조정할 수 있다고도 한다. 연약한 사람들을 맹신으로 이끄는 운명론의 허점은 ... ...
녹차가 암세포 성장 둔화시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녹차가 건강에 좋다는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많이 발표돼 왔다. 이 주장을 좀더 과학적으로 뒷받침해주는 실험결과가 미국 퍼듀대학의 도로시 머레이와 제임스 머레이 부부에 의해 발표돼 화제다. 이들은 녹차 내에 존재하는 EGCg라는 물질이 암세포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효소의 작용을 억제해 암세 ... ...
술의 세기는 신경전달물질의 차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같은 양의 술을 마시고도 왜 누구는 금방 취하고 누구는 취하지 않는 걸까. 혹은 누구는 술을 즐기고 누구는 싫어하는 걸까. 이는 뇌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일종인 뉴로펩티드 Y (NPY)의 농도 차이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워싱턴대의 연구자들은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뇌에 존재하 ... ...
전자잉크, 전자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상상조차 어려운 인쇄술의 신기술이 개발돼 출판광고업계에 획기적인 변화를 몰고 올 전망이다. 최근 미국 MIT대학의 조셉 제이콥슨 박사가 이끄는 미디어 연구팀은 ‘전자 잉크’ 또는 ‘전자 책’이라고 불리는 신기술을 선보였다.이 기술에서는 눈으로 보기에도 어려울 정도로 아주 작은 머리카 ... ...
자연의 지배자 수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수소가 인류에게 알려진 것은 고작 200여년. 그러나 인류는 수소를 통해 자연의 질서를 이해했으며, 자신의 미래를 수소에 의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생명체의 에너지를 책임져온 수소는 미래의 무공해 에니지원으로서도 각광받고 있다. 생명체에서 우주까지 수소가 펼치는 대자연의 드라마를 감상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